'中, 위안화 절하 개시' 관측 나와…환율전쟁 우려 제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 정부가 위안화 가치가 과대평가됐다는 인식 아래 위안화 평가절하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환율전쟁'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위안화 가치는 26일에도 한때 7개월 만에 최저 수준까지 떨어지는 등 7거래일 연속 약세를 이어갔다.
경제조사기관 롬바드스트리트리서치의 다이애나 초일레바 거시경제리서치 책임자는 이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기고문에서 "위안화가 위험할 정도로 과대평가돼 중국 경제에 해가 되고 있다"며 이 같이 전망했다.
위안화의 달러화 대비 가치는 지난 2005년 이후 최근까지 꾸준히 올라 약 35% 절상됐다.
그러나 이달 중순 돌연 하락세로 반전해 25일 현재까지 약 1% 이상 떨어졌다.
위안화 절상 지지론은 절상이 외자 유입과 내수 진작, 물가 상승 억제 등 중국 경제에 순기능을 한다는 점에 근거를 두고 있다.
그는 위안화 가치가 과소평가됐고 중국 경제의 불균형이 심각하지 않았던 과거에는 절상이 중국 경제에 도움이 됐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그간 미국 양적 완화에 의한 막대한 유동성 유입, 중국의 투자 확대와 이에 따른 부채 급증 등으로 이제 사정이 바뀌었다고 그는 진단했다.
특히 위안화 가치는 중국의 교역 상대국과 비교하면 거의 확실히 과대평가됐다고 그는 밝혔다.
초일레바는 단위노동비용(산출물 1단위 생산에 드는 노동비용)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 위안화가 현재 약 10∼15% 과대평가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중국의 위안화 기준 노동비용은 위안화 절상과 임금 상승으로 생산성보다 훨씬 빨리 상승했다.
그 결과 2012∼2013년 중국 제조업의 이익은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제 위안화 추가 절상은 소비 지출 증대라는 순기능보다 부채를 늘려 금융위기 가능성을 키우는 역기능이 더 크며 중국 정부도 마침내 이 점을 인식하게 됐다고 그는 주장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도 최근 5거래일간 위안화 절하폭이 지난 약 20년간 최대 수준이라며 중국이 환율전쟁에 합류하는 것 아니냐는 의문을 내놨다.
이에 대해 개빈 데이비스 FT 칼럼니스트는 최근 위안화 가치 하락이 중국 당국의 외환시장 자유화 포석이며 위안화 절하로 돌아섰을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고 풀이했다.
그는 그간 위안화 절상 기조가 이어지면서 위안화 매수가 안전한 투자라는 믿음이 금융시장에 퍼진 결과 국제 유동성이 중국에 대거 유입됐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위안화 가치가 절상 쪽으로만 '일방통행'한다는 인식을 깨려고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일시적으로 개입한 것 같다고 그는 관측했다.
그는 중국이 경제 경착륙 위기에 직면해 위안화 절상 기조를 끝내기로 했다는 '악몽' 같은 해석도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중국이 아직 경착륙 상황이 아닌 점, 위안화 절하에 따른 물가 상승을 당국이 감수하지 않으려 하는 점을 고려하면 이런 해석은 개연성이 낮아 무시해도 좋다고 그는 평가했다.
아울러 그는 중국이 위안화 절상 기조 자체를 뒤집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 국가외환관리국(SAFE)도 전날 보고서에서 앞으로 유동성이 일방통행이 아니라 양방향으로 오가고 위안화 환율 변동성이 더 커지는 것이 '새로운 정상 상태'(뉴 노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크레디아그리콜도 인민은행이 핫머니 유입을 억제하기 위해 위안화 가치가 양방향으로 움직이는 가능성을 열고 환율 변동성을 늘리려고 모색함에 따라 위안화 절하 압력이 있다고 관측했다.
크레디아그리콜은 중국이 6월 이전, 이르면 몇 주 안에 위안화 환율 변동폭을 현행 ±1%보다 넓힐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DBS은행은 환율 변동폭 확대 시기를 내달 5일 전국인민대표대회 개막 이전으로 예상했고 호주 ANZ은행은 변동폭이 3월 초∼4월 초에 ±2%로 확대될 것 같다고 내다봤다.
WSJ는 그간 수십억 달러 규모의 차입 비율이 높은 투자가 위안화 절상 쪽에 베팅됐으나 이제 위안화 가치가 하락하면서 이런 투자의 위험성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위안화 가치는 이날 오전 한때 상하이 외환시장에서 달러당 6.1351위안까지 내려 지난해 7월 30일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오후 2시16분 현재는 달러당 6.1278위안으로 소폭 회복했으나 7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인민은행이 이날 고시한 달러당 위안화 중간가격(기준환율)은 전날보다 0.0008위안 오른 6.1192위안으로 지난해 12월 20일 이래로 가장 높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경제조사기관 롬바드스트리트리서치의 다이애나 초일레바 거시경제리서치 책임자는 이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기고문에서 "위안화가 위험할 정도로 과대평가돼 중국 경제에 해가 되고 있다"며 이 같이 전망했다.
위안화의 달러화 대비 가치는 지난 2005년 이후 최근까지 꾸준히 올라 약 35% 절상됐다.
그러나 이달 중순 돌연 하락세로 반전해 25일 현재까지 약 1% 이상 떨어졌다.
위안화 절상 지지론은 절상이 외자 유입과 내수 진작, 물가 상승 억제 등 중국 경제에 순기능을 한다는 점에 근거를 두고 있다.
그는 위안화 가치가 과소평가됐고 중국 경제의 불균형이 심각하지 않았던 과거에는 절상이 중국 경제에 도움이 됐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그간 미국 양적 완화에 의한 막대한 유동성 유입, 중국의 투자 확대와 이에 따른 부채 급증 등으로 이제 사정이 바뀌었다고 그는 진단했다.
특히 위안화 가치는 중국의 교역 상대국과 비교하면 거의 확실히 과대평가됐다고 그는 밝혔다.
초일레바는 단위노동비용(산출물 1단위 생산에 드는 노동비용)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 위안화가 현재 약 10∼15% 과대평가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중국의 위안화 기준 노동비용은 위안화 절상과 임금 상승으로 생산성보다 훨씬 빨리 상승했다.
그 결과 2012∼2013년 중국 제조업의 이익은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제 위안화 추가 절상은 소비 지출 증대라는 순기능보다 부채를 늘려 금융위기 가능성을 키우는 역기능이 더 크며 중국 정부도 마침내 이 점을 인식하게 됐다고 그는 주장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도 최근 5거래일간 위안화 절하폭이 지난 약 20년간 최대 수준이라며 중국이 환율전쟁에 합류하는 것 아니냐는 의문을 내놨다.
이에 대해 개빈 데이비스 FT 칼럼니스트는 최근 위안화 가치 하락이 중국 당국의 외환시장 자유화 포석이며 위안화 절하로 돌아섰을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고 풀이했다.
그는 그간 위안화 절상 기조가 이어지면서 위안화 매수가 안전한 투자라는 믿음이 금융시장에 퍼진 결과 국제 유동성이 중국에 대거 유입됐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위안화 가치가 절상 쪽으로만 '일방통행'한다는 인식을 깨려고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일시적으로 개입한 것 같다고 그는 관측했다.
그는 중국이 경제 경착륙 위기에 직면해 위안화 절상 기조를 끝내기로 했다는 '악몽' 같은 해석도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중국이 아직 경착륙 상황이 아닌 점, 위안화 절하에 따른 물가 상승을 당국이 감수하지 않으려 하는 점을 고려하면 이런 해석은 개연성이 낮아 무시해도 좋다고 그는 평가했다.
아울러 그는 중국이 위안화 절상 기조 자체를 뒤집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 국가외환관리국(SAFE)도 전날 보고서에서 앞으로 유동성이 일방통행이 아니라 양방향으로 오가고 위안화 환율 변동성이 더 커지는 것이 '새로운 정상 상태'(뉴 노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크레디아그리콜도 인민은행이 핫머니 유입을 억제하기 위해 위안화 가치가 양방향으로 움직이는 가능성을 열고 환율 변동성을 늘리려고 모색함에 따라 위안화 절하 압력이 있다고 관측했다.
크레디아그리콜은 중국이 6월 이전, 이르면 몇 주 안에 위안화 환율 변동폭을 현행 ±1%보다 넓힐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DBS은행은 환율 변동폭 확대 시기를 내달 5일 전국인민대표대회 개막 이전으로 예상했고 호주 ANZ은행은 변동폭이 3월 초∼4월 초에 ±2%로 확대될 것 같다고 내다봤다.
WSJ는 그간 수십억 달러 규모의 차입 비율이 높은 투자가 위안화 절상 쪽에 베팅됐으나 이제 위안화 가치가 하락하면서 이런 투자의 위험성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위안화 가치는 이날 오전 한때 상하이 외환시장에서 달러당 6.1351위안까지 내려 지난해 7월 30일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오후 2시16분 현재는 달러당 6.1278위안으로 소폭 회복했으나 7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인민은행이 이날 고시한 달러당 위안화 중간가격(기준환율)은 전날보다 0.0008위안 오른 6.1192위안으로 지난해 12월 20일 이래로 가장 높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