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대의원대회는 앞으로 3년간 한국노총을 이끌 김동만 신임 한국노총 위원장의 취임식을 겸하는 의미가 있는 자리였습니다. 그리고 방 장관은 2009년 이영희 전 장관 이후 5년만에 고용부 장관으로선 처음으로 자리를 채웠습니다. 이명박 정부 시절 ‘MB맨’들이었던 임태희, 박재완 전 장관이나 관료 출신인 이채필 전 장관은 모두 참석하지 않았습니다.
방 장관의 이번 참석은 최근 방 장관이 김동만 위원장의 당선을 축하하기 위해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 본부를 찾았을 때 김 위원장이 제안하면서 성사됐습니다. 작년말 철도노조가 역대 최장기 파업을 벌일 때 민주노총 본부에 대한 공권력 투입에 반발해 ‘노정 대화’가 단절된 상태여서 정부로서도 대화 복구가 시급한 상황이었습니다. 통상임금이나 근로시간 단축, 정년연장에 따른 임금체계 조정 등 산적한 노사 현안을 타협하기 위해선 정부 뿐 아니라 노동계 및 경영계와 대화는 필수적입니다.
김 위원장의 제안으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는 지난 21일부터 ‘노사정 소위’도 가동되기 시작했습니다. 비록 공식 대화 기구인 노사정위에는 한국노총이 불참하고 있지만 국회에 노·사·정이 만나는 자리가 마련돼 대화의 물꼬는 터진 셈입니다.
방 장관은 이날 축사에 앞서 ‘생상성 향상과 고용 창출을 뒷받침하는 노동시장 구축’, ‘다양한 형태의 일자리 확산’, ‘법과 원칙이 준수되는 공정한 노동시장’ 등 현 정부가 추진중인 노동 정책들을 원고에 담았었습니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선 최대한 노동계를 자극하지 않으려는 듯 ‘생산성 향상’이나 ‘다양한 형태의 일자리’, ‘법’과 ‘원칙’ 등 자칫 민감하게 들릴 수 있는 단어들은 뺐습니다. 그리고 “정부가 먼저 정성을 다하겠다”는 요지로 짧게 말했습니다.
방 장관은 27일에 한국경영자총협회 총회에도 참석할 예정입니다. 관례상 차관이 가는 자리지만 노사를 한 번이라도 더 만나겠다고 장관이 자진해서 나섰다고 합니다.
이처럼 고용부 장관이 동분서주하는 모습에서 박근혜 정부의 노동시장 정책을 조금이나마 읽을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전날인 25일 박 대통령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발표했죠. 그런데 고용노동정책 부문에 당초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던 ‘노동시장 유연화’가 빠졌습니다. 많은 전문가들은 비정규직 보호는 강화하고 정규직 과보호는 완화해야 한다고 분석합니다. 그래야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고 기업도 인력을 탄력적으로 운용하면서 위기를 극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실제 발표된 정책은…
☞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한경+'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