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 뒤로 웃는데 제조사·대리점 '울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뉴스 & 분석 - 통신3社 보조금 제재…3월 중 영업정지
매장 근무 30만명 생계 위기
내수 의존하는 팬택 치명상
통신사는 비용 줄어 수익↑
매장 근무 30만명 생계 위기
내수 의존하는 팬택 치명상
통신사는 비용 줄어 수익↑
![통신사 뒤로 웃는데 제조사·대리점 '울상'](https://img.hankyung.com/photo/201402/AA.8418424.1.jpg)
28일 업계에 따르면 미래창조과학부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요청에 따라 조만간 휴대폰 보조금 관련 시정명령을 위반한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에 최소 45일 이상의 영업정지 처분을 내릴 계획이다. 방통위는 특히 ‘2개 사업자 동시 영업정지’와 ‘신규가입, 번호이동 외에 기기변경까지 금지’를 권고했다. 문제는 이 같은 제재가 통신사가 아닌 휴대폰 제조사와 유통업계에 치명적인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이다.
통신사들은 영업정지 기간 단말기 보조금 경쟁을 벌이지 않고도 기존 가입자를 유지할 수 있어 실적 측면에서 긍정적이다. 마케팅 비용 감소로 실적이 좋아질 거라는 증권사 전망이 잇따라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단말기 제조사와 휴대폰 유통업계는 큰 타격이 예상된다. 당장 갤럭시S5, G프로2 등 신규 전략폰 판매에 비상이 걸렸다. 수출 비중이 높은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그나마 버틸 수 있다. 하지만 내수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팬택은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 2년2개월 만에 다시 워크아웃을 신청한 팬택은 존립이 흔들릴 수 있다. 이에 휴대폰 제조사들은 최근 미래부에 영업정지 기간을 줄이고, 기기변경 업무는 허용해 달라는 건의문을 제출했다.
4만여개에 달하는 휴대폰 대리점, 판매점의 피해는 더욱 심각하다. 직영점과 대형 대리점은 기존 개통물량에 따른 인센티브로 버틸 수 있지만 소규모 영업점은 문을 닫아야 할 판이다.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는 성명을 통해 “장기 영업정지는 전국 30만여명에 이르는 이동통신 매장 근무자에 대한 해고 등으로 파급돼 청년 실업 심화로 이어질 것”이라며 “영업정지는 상생경제와 경제민주화에 역행하는 조치”라고 비판했다. 또 국내 휴대폰 제조사와 부품 업체들도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협회는 “죄는 천도깨비가 짓고 벼락은 고목이 맞는다”며 “방통위와 미래부도 영업정지의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라고 비난했다.
미래부는 고심 중이다. 방통위가 30일 이상의 영업정지를 요청했지만,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에 3개월(90일) 제재와 함께 2분의 1 감면, 가중 규정이 있어 최소 45일 이상 제재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며 “통신사 의견과 시장 상황, 판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제재 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양준영 기자 tetri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