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3월9일 바닥을 찍은 뉴욕 증시가 9일(현지시간)로 ‘대세상승장(불마켓·bull market)’ 5년을 맞았다. 10일 장이 열리면 6년째로 접어드는 셈이다. 투자자들의 관심은 강세장이 언제까지 지속될지에 집중되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올해도 상승세는 이어지겠지만 작년 같은 두 자릿수대 상승률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뉴욕 증시 화려한 5년 성적표

2007년 10월9일 1565.15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S&P500지수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2009년 3월9일 장중 666포인트까지 폭락했다. 이후 등락을 거듭하면서도 꾸준히 상승, 지난해 3월28일 1569.19로 사상 최고치를 회복했다. 지난 1년간 50회나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운 S&P500지수는 이달 6일 1877.03으로 장을 마쳤다. 5년간 상승률은 177.6%에 달한다.

미국 30대 기업의 주가를 반영하는 다우존스지수도 비슷한 궤적을 걸어왔다. 2007년 10월9일 14,164.53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다우존스지수는 2009년 3월9일 6547.05로 반토막 났다. 그러나 6일 종가는 16,452.72로, 5년간 151.3% 상승했다. 같은 기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42%,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지수는 251% 올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이번 대세상승장은 1900년 이후 32차례의 ‘불마켓’ 중 다섯 번째로 주가가 많이 올랐다. 만약 5년 전 1만달러를 S&P500 인덱스펀드에 넣어 두고 6일까지 차익을 실현하지 않았다면 투자금의 현재 가치는 3만871달러에 달한다.

◆Fed 없이도 강세장 지속될까

하지만 올 들어 미국 시장은 힘을 잃어가고 있다. 다우존스지수는 0.7% 하락했다. S&P500지수는 1.6% 오르는 데 그쳤다. 1월 신흥국 통화위기가 터진 데다 미국과 중국에서 부진한 경제지표가 나왔기 때문이다.

보다 근본적으로 ‘불마켓’의 성격이 바뀐 탓이 크다. 지난 5년간은 미 중앙은행(Fed)이 세 차례의 양적완화 정책을 통해 돈을 풀어 주가를 인위적으로 끌어올렸다. 하지만 1월부터 Fed가 출구전략에 나서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Fed는 특별한 악재가 없는 한 올가을까지 양적완화 정책을 완전히 종료한다는 방침이다. 이제는 경제가 Fed의 도움 없이 계속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강세장이 지속될 수 있다.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러스 코스테리치 최고투자책임자(CIO)는 “경제가 계속 성장한다면 증시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될 수 있겠지만 올해부터 연 두 자릿수대 상승률을 기록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증시 상승 속도가 둔화된 또 하나의 이유는 주식 가격이 더 이상 싸지 않다는 점이다. 현재 S&P500 편입 기업들의 주가수익비율(PER)은 16배다. 주가 폭락 전인 2007년 10월과 비슷한 수준이다.

모건스탠리 웰스매니지먼트의 크리스토퍼 정 이사는 “작년까지 어떤 주식을 사도 돈을 버는 시장이었다면 올해부터는 업종과 종목을 잘 선택하는 이른바 ‘스마트 머니’만 돈을 벌 수 있는 시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뉴욕=유창재 특파원 yoo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