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서 '고위험 상품' 투자 까다로워진다…금감원, 소비자보호 대책 강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은행에서 위험도 높은 금융투자 상품을 구입하기가 까다로워진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은행의 원금 미보장 금융투자상품 판매 실적은 18조2106억원으로 이 가운데 고객에게 적합한 금융투자상품보다 투자위험도가 높은 상품의 평균 판매 비중은 48.3%(8조7977억원)에 달했다. 금감원은 일부 은행이 판매 실적을 올리기 위해 고객의 투자성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위험등급 초과가입 확인서’를 형식적으로 받고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은행은 펀드 등 고위험 금융투자상품 판매 시 고객이 본인의 투자 성향보다 위험 등급이 높은 투자를 원할 경우 ‘위험등급 초과가입 확인서’를 받아야 한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고위험 상품 판매 비율 및 공격적 투자자 가입 비율이 업계 평균보다 높은 은행에 대해서는 상시 감시와 미스터리 쇼핑, 현장 검사를 강화하기로 했다.
박종서 기자 cosmos@hankyung.com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은행의 원금 미보장 금융투자상품 판매 실적은 18조2106억원으로 이 가운데 고객에게 적합한 금융투자상품보다 투자위험도가 높은 상품의 평균 판매 비중은 48.3%(8조7977억원)에 달했다. 금감원은 일부 은행이 판매 실적을 올리기 위해 고객의 투자성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위험등급 초과가입 확인서’를 형식적으로 받고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은행은 펀드 등 고위험 금융투자상품 판매 시 고객이 본인의 투자 성향보다 위험 등급이 높은 투자를 원할 경우 ‘위험등급 초과가입 확인서’를 받아야 한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고위험 상품 판매 비율 및 공격적 투자자 가입 비율이 업계 평균보다 높은 은행에 대해서는 상시 감시와 미스터리 쇼핑, 현장 검사를 강화하기로 했다.
박종서 기자 cosm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