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4월 경제전망에 반영"
전문가 "금리 인상" 점쳐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와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산출하는 ‘S&P GSCI 농산물지수’는 지난 6일 399.93을 기록했다. 올 들어 13.7%(103.75포인트) 치솟은 것이다. 옥수수 선물가격(최근월물 기준)은 15.1% 뛰었고 원당(11.6%) 대두(10.2%) 등도 상승세다. 옥수수 가격의 경우 남미 수확량이 건조한 우기 탓에 줄어들 전망인데다, 옥수수 3위 수출국인 우크라이나가 정정 불안에 휩싸이면서 뛰었다.
이 같은 국제 곡물가격 상승은 저물가로 디플레 우려까지 제기됐던 국내 경제엔 새로운 변수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1.0% 상승하며 16개월째 1%대를 유지했다.
박세령 한은 물가분석팀장은 “작년 말에 올해 물가를 전망할 때는 남미 등의 이상기후를 전제하지 않았다”며 “이달 중순 국내외 물가요인을 종합 점검한 뒤 다음달 새 경제 전망에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말 한은이 예상한 올해 하반기 물가상승률은 2.8%(전년 동기 대비). 국내 농산물 공급량이 지난해보다 줄어들고 서비스 요금도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곡물 등의 국제가격은 공급량이 늘어나면서 약세를 이어갈 것(1월 인플레이션 보고서)으로 관측됐다. 한은에 따르면 국제 곡물값 급등은 약 6개월 시차를 두고 국내에 반영된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체감물가 상승세가 지표에 곧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며 “그 속도에 따라 한은의 통화정책 정상화(기준금리 인상) 시점이 정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물가가 오르면 디플레이션 논란에 마침표를 찍으면서 기준금리를 올릴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해외IB(투자은행)를 비롯한 시장전문가들은 이르면 올해 하반기부터 금리 인상을 내다보고 있다. 노무라증권은 오는 4분기 물가상승률이 3%대로 뛰면서 기준금리도 0.25%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재승 KB투자증권 채권분석팀장은 “적어도 올초 나왔던 기준금리 인하 논쟁은 이제 별로 거론되지 않을 것”이라며 “이주열 한은 총재 후보자의 지명으로 분위기가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한은 출신인 이 후보자는 한은의 중립성과 물가 안정을 중시할 것이라는 게 시장의 관측이다.
1000조원을 넘어선 국내 가계부채도 변수다. 부동산시장이 들썩이며 가계빚이 급증하면 저금리 부작용이 문제가 된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