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제도는 고객 불만이 발생했을 때 신속한 조치와 효과적인 관리를 통해 차별화된 고객만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고객 불만 사항을 접수한 본사와 지점, 콜센터 등의 고객접점 담당자가 바로 관리자에게 관련 내용을 전달하고 적극적으로 고객응대를 실시하는 방식이다.
삼성전자가 22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삼성 갤럭시 언팩 2025’ 행사를 열고 프리미엄 인공지능(AI) 폰 갤럭시 S25 시리즈를 공개했다. 개인 맞춤형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에이전트’(비서) 기능을 강화한 게 특징이다. 노태문 삼성전자 모바일경험(MX)사업부장(사장)이 갤럭시 S25 울트라 제품을 들고 주요 AI 기능을 설명하고 있다.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는 신형 인공지능(AI)폰 갤럭시S25 시리즈에 최고 성능의 부품을 장착했다.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뿐 아니라 카메라, 디스플레이, 외부 글라스 등에 빠짐없이 ‘업계 최초’ 기능을 넣었다. 삼성전자가 AI폰 경쟁에서 애플과 중국 업체들을 따돌리기 위한 승부수를 뒀다는 평가가 나온다.삼성전자는 22일 “갤럭시S25 시리즈 전 모델에 퀄컴과 공동 개발한 맞춤형 AP인 ‘갤럭시용 스냅드래곤 8 엘리트’를 장착했다”고 발표했다. 최상위 모델인 울트라에만 퀄컴 AP를 장착하고, 기본 모델과 플러스 모델엔 자체 개발한 엑시노스 AP를 적용한 갤럭시S24 때와는 다른 전략이다. AP는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칩이다.스냅드래곤 8 엘리트는 역대 갤럭시 전용 AP를 통틀어 성능이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전작인 스냅드래곤 8 3세대와 비교해 신경망처리장치(NPU)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성능이 각각 40%, 37%, 30% 향상됐다. 그 덕분에 온디바이스 AI(인터넷 연결 없이 기기 자체적으로 구동되는 AI) 기능이 원활하게 구현된다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실시간 통역, 통화 요약, 이미지 업스케일링 등 고성능 AI 기능을 버벅거림 없이 쓸 수 있다는 얘기다.화질은 현재 최고 사양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이 구현할 수 있는 수준보다 40% 이상 개선됐다. 다양한 콘텐츠를 선명하게 표현해 주는 ‘프로 스케일러’ 기능이 최초로 적용된 영향이다. 프로 스케일러는 칩에 설계된 AI 이미지 프로세싱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이미지의 흐린 부분을 보강해 화질을 깨끗하고 선명하게 만들어준다.AI폰을 더 오랜 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
인공지능(AI)폰 시장을 둘러싼 글로벌 스마트폰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먼저 치고 나간 삼성전자를 애플, 샤오미 등이 추격하는 모양새다.22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업체들은 앞다퉈 구글의 AI 기능을 기본 장착한 스마트폰을 출시하고 있다. 맨 앞에는 세계 3위 스마트폰업체 샤오미가 섰다. 지난 15일 샤오미가 한국 시장에 내놓은 스마트폰 14T에는 구글의 생성형 AI 서비스 제미나이와 AI를 활용한 검색 기능 ‘서클 투 서치’가 적용됐다. 삼성전자가 지난해 1월 출시한 갤럭시S24에 들어간 대표적인 AI 기능을 넣은 것이다. 샤오미는 자체 개발한 ‘어드밴스트 AI’ 기술로 실시간 통역, AI 녹음 등 차별화된 AI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애플도 지난해 9월 첫 AI폰인 아이폰16을 내놓은 뒤 자체 AI 서비스인 ‘애플 인텔리전스’를 운영체제(OS) 업데이트 방식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하지만 이 서비스가 중국에서 금지된 데다 최근 ‘AI 뉴스 요약’에서 오류가 자주 발생하면서 “기대에 못 미친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AI폰이 스마트폰 시장의 대세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 중 AI폰 비중이 2024년 19%에서 2028년 54%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황정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