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3홀 규모 신안그룹 제쳐…M&A 경쟁 '촉각'
레이크사이드 이름 안바꾸고 인력·운영 그대로
삼성그룹이 경기 용인시에 있는 레이크사이드CC를 인수하면서 국내 최대 규모의 골프장을 거느리게 됐다.
삼성은 54홀 규모의 ‘메이저 골프장’을 편입함으로써 안성베네스트(36홀) 가평베네스트(27홀) 동래베네스트(18홀) 안양(18홀) 글렌로스(9홀) 등 6개 골프장에서 총 162홀을 보유, 그동안 국내 골프장 규모 1위인 신안그룹(153홀)을 제치고 업계 1위로 올라섰다.
○레이크사이드CC 이름 안 바꿔
삼성그룹 산하의 삼성에버랜드(주)는 안양 안성베네스트 가평베네스트 글렌로스 등 90홀, 삼성물산(주)은 동래베네스트와 레이크사이드 등 72홀을 소유하게 됐다. 삼성은 골프장에 베네스트(Benest)라는 이름을 브랜드화하고 있다. 최고를 나타내는 ‘베스트(best)’와 둥지를 나타내는 ‘네스트(nest)’의 합성어다.
그러나 1968년 개장해 국내 최고의 골프장으로 손꼽히는 안양CC는 안양베네스트GC로 부르다 2012년 코스를 리뉴얼해 지난해 재개장하면서 옛날 이름인 안양CC로 되돌렸다. 삼성에버랜드 관계자는 “안양은 삼성 골프장의 랜드마크 같은 이미지를 갖고 있어 전통을 지키자는 차원에서 베네스트를 붙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레이크사이드도 삼성 골프장 브랜드인 ‘용인베네스트’로 바꾸지 않고 기존 이름을 계속 가져가기로 내부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에버랜드 관계자는 “현 레이크사이드CC 인력 및 운영을 그대로 유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100홀 이상 골프장 보유 5곳
삼성, 신안에 이어 골프장 보유가 많은 곳은 한화그룹(126홀), 에머슨 퍼시픽그룹(117홀), 레이크힐스그룹(117홀) 등으로 5곳이 100홀 이상의 골프장을 소유하고 있다. ▶표 참조
롯데그룹과 GS그룹이 각각 90홀을 갖고 있으며 현대그룹은 다음달 충남 태안에 36홀 규모의 ‘현대더링스코스’를 개장해 해비치제주(36홀)와 해비치서울(18홀)을 합쳐 보유 골프장이 90홀로 늘어난다. 현대는 태안에 추가로 72홀 골프장 인허가를 받은 상태여서 모두 완공되면 삼성처럼 162홀이 된다.
골프장은 비즈니스 차원에서는 수익성이 높지 않지만 레저업 진출을 꿈꾸는 기업들에는 반드시 가져야 할 ‘필수 아이템’이다.
롯데는 경북 성주의 헤븐랜드CC(18홀)를 2008년 말 인수해 스카이힐성주로 바꿨고 2012년 입회금을 모두 돌려준 뒤 퍼블릭으로 재개장했다. 현대가 갖고 있는 해비치서울은 2005년 11월 군인공제회에서 사들인 것이다. 한화는 일본 나가사키현의 오션팰리스CC(18홀)를 2004년 말에 인수했다. 신안그룹은 2011년 현대성우리조트로부터 오스타CC(36홀)를 사들여 당시 업계 1위로 부상한 바 있다.
SK그룹은 2010년 제주 핀크스골프장을 부채를 떠안는 조건으로 700억원에 사들였다. 2009년에는 한국야쿠르트가 경기 동두천 다이너스티CC(18홀)를 인수해 ‘티클라우드CC’로 이름을 바꿨다.
○골프장 M&A 활발해질까
삼성의 레이크사이드 인수가 골프장 인수합병(M&A)을 촉발시킬지도 관심사다. 현재 상당수 골프장이 회원권 분양에 실패하고 입회금을 돌려주지 못해 부도 위기를 맞고 있다. 최근 법정관리에 들어간 골프장들이 입회금을 제대로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이 속출하면서 자금력이 탄탄한 기업들에 골프장 인수 제의가 잇따르고 있다.
M&A시장에는 골프장 매물이 쌓여 있다. 공기업이 소유한 골프장 매물로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뉴서울CC, 국가보훈처의 88CC, 한국광해관리공단의 블랙밸리CC, 한국관광공사의 제주중문CC 등이 있다.
회원권 분양이 안돼 막대한 골프장 건설비용을 받지 못한 건설사들의 인수도 이어질 전망이다. 두산중공업은 지난해 강원 홍천의 클럽모우골프장을 부채를 떠안는 조건으로 2200억원에 인수했다. 현대엠코는 강원 춘천의 오너스, 한솔건설은 경남 양산의 양산CC, 삼부토건은 경남 사천의 타니CC, 대우건설은 춘천의 파가니카CC 등에 발목이 잡혀 있다.
이효송(16·사진)이 일본여자프로골프(JLPGA)투어 역대 최연소 신인상 수상 기록을 썼다. 이효송은 17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2024 JLPGA투어 시상식에서 신인상 트로피를 품에 안았다. 한국 선수가 JLPGA투어에서 신인상을 받은 것은 2010년 안선주 이후 14년 만이다. 2008년 11월 11일생으로 지난달 만 16세가 된 이효송은 역대 최연소 신인상 수상 기록도 세웠다.이효송은 아마추어 신분이던 지난 5월 JLPGA투어 메이저 대회 살롱파스컵에서 ‘깜짝 우승’을 차지하며 이름을 알렸다. 살롱파스컵 당시 15세176일로 JLPGA투어 역대 최연소 우승 기록을 새로 쓴 그는 이후 프로로 전향, JLPGA의 특별 입회 승인을 받아 일본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JLPGA는 시즌 성적에 따른 포인트로 신인상을 주는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와는 달리 뛰어난 활약을 펼친 신인을 직접 선정한다.서재원 기자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투어에 출전한 선수 1140명(회원 기준) 가운데 우승해본 선수는 221명이었다. 1978년 창설 이후 46년간 단 한 번이라도 우승컵을 들어 올린 선수는 20%(16일 현재)도 안 된다. 900명 넘는 선수가 우승 경험이 없으며 배소현(31)도 마찬가지였다. 올해 초까지는 그랬다. 2017년 KLPGA투어에 데뷔한 배소현은 지난해까지 정규투어 우승 기록이 없었다. 7년 동안 한때 시드를 잃고 드림(2부)투어로 내려간 적도 있다.올해의 배소현은 달랐다. 완전히 다른 모습이다. 지난 5월 E1 채리티 오픈에서 30대의 나이로 생애 첫 승을 따내더니 시즌 3승까지 거두며 공동 다승왕에 이름을 올렸다. 최근 경기 용인시 수원CC 연습장에서 배소현을 만났다. 그는 “허리 부상으로 선수 생활을 할 수 없을 거란 생각까지 했었는데 첫 승을 넘어 3승까지 기록한 2024년은 잊지 못할 한 해”라고 밝혔다.우승은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올 시즌 3승과 함께 기량 발전상까지 거머쥔 배소현. 그는 2019년 세상을 떠난 아버지 고(故) 배원용 씨가 정신적 지주라고 했다. 골프 국가대표 상비군 코치를 지낸 아버지의 영향으로 배소현은 중학교 3학년 때 골프선수의 길을 걷겠다고 마음먹었다. 배소현은 “아버지가 강요는 하지 않으셨지만, 어릴 때부터 다양한 운동을 시키셨다”며 “늦게나마 골프채를 잡은 저를 보면서 흐뭇해하시는 걸 느낄 수 있었다”고 회상했다.배소현의 개인 코치이자 캐디백을 메고 함께 투어 생활을 했던 배씨는 2018년 뇌종양 진단을 받고 이듬해 세상을 떠났다. 배소현은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부끄럽지 않은 골프선수, 부끄럽지 않은 딸이 되려고 노력했다”며 “올해 첫 승을 하
노승열(33·사진)과 이승택(29)에게 미국프로골프(PGA)투어의 문은 너무 좁았다. 그래도 콘페리투어(2부) 출전권을 따내며 꿈을 위해 달려갈 기회는 확보했다.노승열은 16일(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폰테베드라비치의 TPC 소그래스(파70)에서 열린 PGA투어 퀄리파잉(Q)스쿨 최종전 4라운드에서 3언더파 67타를 쳐 최종합계 2언더파 278타, 공동 8위로 대회를 마쳤다. PGA투어 출전권 확보의 마지노선이 된 공동 4위(4언더파 276타)와 단 2타 차이로 아쉬움을 남겼다. 이 대회는 5위(공동 순위 포함)까지 내년 시즌 PGA투어 출전권을 주고 이후 상위 40명(공동 순위 포함)에게는 2부 투어인 콘페리투어 출전권을 부여한다.지난 9월 한국프로골프(KPGA)투어 렉서스 마스터즈 우승자 이승택은 이날 4타를 줄이며 최종합계 1언더파 279타로 공동 14위에 올랐다. 이에 노승열과 이승택은 내년 콘페리투어에서 시즌 초반 12개가량의 대회에 출전할 수 있는 자격을 따냈다. 이 성적에 따라 리랭킹을 통해 출전권이 결정된다. 배상문(38)은 이날 2타를 잃어 3오버파 283타, 공동 43위로 순위가 밀렸다.조수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