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가 “중국은 북한 돌발사태 시 러시아가 크림반도에 했던 것처럼 개입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다는 보도다. 20일 인민일보 해외판은 “북한 급변사태 시 중국 개입의 명분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지만 이 같은 우려는 불필요한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은 오랜 기간 북한의 외교적 군사적 경제적 후견인 역할을 해왔다. 그런 중국이 북한 체제의 붕괴를 전제로 무언가 시나리오를 언급한다는 것은 적지 않은 변화요 평가할 만한 전향적인 태도다. 물론 해석하기에 따라 이중적 의미를 갖는 언급들도 숨어 있다. 인민일보는 “북한의 대량 난민으로 중국의 안전이 위협당하거나 외세가 북한에 개입해 중국의 안보를 위협하지 않는 이상 중국은 북한 내부에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고도 전했다.

그러나 북한 정리계획안을 만드는 작업이 이제 시작된 듯한 인상을 준다. 얼마 전 박근혜 대통령은 통일 이후에도 핵을 갖지 않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고 미국은 북한 급변사태 시 북한에 진주할 군대는 한국군밖에 없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중국이 이미 2009년에 북한 급변사태에 대해 미국과 논의했었다는 미 의회조사국 보고서도 공개된 바 있다. 더 이상은 숨길 수 없는 사실상 공개적인 토론과 합의 과정이 비록 느린 속도지만 시작된 것이다.

정부는 통일준비위원회를 가동키로 했다. 이 위원회는 최우선적으로 급변사태 이후 북한 지역 정리계획안을 다루어야 할 것이다. 한국이 주도하는 보다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해졌다.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에 입각한 통일은 중국의 이익에도 부합한다는 점을 확고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