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의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인 7.5% 달성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진단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3일 '중국 경제 리스크 요인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최근 중국의 내·외수 경기가 동반 둔화돼 중국 경제의 회복세가 지연되면서 올해 7.5% 성장률 달성에 의구심이 든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이달 초 개최한 양회(兩會)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7.5%로 선포하면서 지속적 성장을 천명했다.

하지만 중국을 둘러싼 대내외 환경은 녹록지 않다.

이 연구원은 중국 경제의 '하방 리스크' 요인으로 소비 둔화 가속 가능성, 투자 위축 장기화 우려, 외수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 약화, 금융경색 및 기업부실 확대 우려, 가계 자산 부실화 가능성 확대 우려 등 5가지를 꼽았다.

첫째, 중국의 올해 초 소매판매 증가율은 전년 대비 11.8%로 2004년 4월(11.3%) 이후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소비 둔화 가능성이 제기된다.

둘째, 올해 2월 현재 중국의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17.9%로 2002년 12월(17.4%) 이후 12년 만에 처음으로 17%대를 기록하는 등 투자 위축 장기화 우려가 나온다.

셋째, 미국·유럽 등 선진국 경기의 완만한 회복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진행되면서 중국의 외수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약화했다.

넷째, 은행보다 투명성이 떨어지는 '그림자 금융'이 커지자 중국 정부가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금융경색에 따른 기업부실 확대 우려는 잦아들지 않고 있다.

다섯째, 2012년 8월부터 17개월간 상승세를 보이던 중국 100대 도시의 주택 평균가격 증가율이 최근 2개월 연속 하락세고, 2007년 10월 6,092포인트까지 치솟았던 상하이종합지수가 2014년 3월20일 1,683포인트를 기록하는 등 가계 자산 부실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한재진 연구위원은 "중국 정부의 경기활성화 조치 없이는 올해 목표치인 7.5% 달성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라며 "앞으로 중국 경기 급랭에 대비한 상시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중(對中) 수출 의존도가 높은 상품의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중국의 금융 구조조정으로 나타날 수 있는 외환시장의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모니터링을 강화할 것 등을 제언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승욱 기자 ksw08@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