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日, 추가 금융완화 가능성 높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본이 경제 회복세를 높이기 위해 추가 금융완화 정책을 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박진호 한국은행 국제종합팀 차장은 27일 '일본의 인플레이션 전망과 추가 금융완화 가능성' 보고서에서 일본이 추가 양적·질적 금융완화 정책(QQE)을 취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은행(BOJ)은 2014회계연도(2015년 3월 종료)까지 물가목표(신선식품·소비세율 인상효과를 뺀 소비자물가 상승률)를 2% 수준으로 끌어올리고자 2013년부터 QQE를 시행했다.
문제는 금융기관이 QQE로 풀린 돈 대부분을 일본은행 당좌예금에 예치했기 때문에 가계·기업대출이 크게 늘지 않았고, 물가상승을 상쇄할 만큼 임금이 올라가지 않아 가계의 실질 구매력은 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박 차장은 통화량 변수 등을 고려해 추산한 결과 광의통화(M2) 증가율이 2013년 연평균보다 1%포인트 늘어나더라도 2015년 들어 일본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 초반(전년 동기 대비)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2015년 초반까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에 도달하려면 국내총생산(GDP)갭이 +3%까지 확대돼야 하는데 GDP갭이 +3%대였던 경우는 부동산 버블기인 1990년대 초반이 유일하다"고 "일본은행이 물가목표를 달성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때문에 시장에서는 일본은행이 2분기나 3분기에 추가 QQE를 단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의 12개 주요 연구기관이 추산한 2015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평균 1.0%인 점, QQE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 것으로 보이는 점도 추가 금융완화 전망에 힘을 싣는다.
박 차장은 "2%의 물가목표 달성이 아베노믹스의 최우선 과제인 상황에서 추가 QQE 실행 필요성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며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구조개혁 등을 통한 성장전략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박진호 한국은행 국제종합팀 차장은 27일 '일본의 인플레이션 전망과 추가 금융완화 가능성' 보고서에서 일본이 추가 양적·질적 금융완화 정책(QQE)을 취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은행(BOJ)은 2014회계연도(2015년 3월 종료)까지 물가목표(신선식품·소비세율 인상효과를 뺀 소비자물가 상승률)를 2% 수준으로 끌어올리고자 2013년부터 QQE를 시행했다.
문제는 금융기관이 QQE로 풀린 돈 대부분을 일본은행 당좌예금에 예치했기 때문에 가계·기업대출이 크게 늘지 않았고, 물가상승을 상쇄할 만큼 임금이 올라가지 않아 가계의 실질 구매력은 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박 차장은 통화량 변수 등을 고려해 추산한 결과 광의통화(M2) 증가율이 2013년 연평균보다 1%포인트 늘어나더라도 2015년 들어 일본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 초반(전년 동기 대비)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2015년 초반까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에 도달하려면 국내총생산(GDP)갭이 +3%까지 확대돼야 하는데 GDP갭이 +3%대였던 경우는 부동산 버블기인 1990년대 초반이 유일하다"고 "일본은행이 물가목표를 달성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때문에 시장에서는 일본은행이 2분기나 3분기에 추가 QQE를 단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의 12개 주요 연구기관이 추산한 2015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평균 1.0%인 점, QQE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 것으로 보이는 점도 추가 금융완화 전망에 힘을 싣는다.
박 차장은 "2%의 물가목표 달성이 아베노믹스의 최우선 과제인 상황에서 추가 QQE 실행 필요성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며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구조개혁 등을 통한 성장전략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