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제1야당 원내대표 도전 박영선 의원 "민생·민주주의 '투트랙' 승부…입법으로 신당 정체성 알릴것"
“첫 여성 원내대표가 나오면 ‘새정치민주연합이 정말 새로워졌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박영선 새정치연합 의원(국회 법제사법위원장·사진)은 27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최근 박 의원은 5월 초 경선을 실시하는 새정치연합의 첫 원내대표직에 출사표를 던졌다.

박 의원은 “이제 입법을 통해 국민에게 그 당의 정체성을 확실히 전달하는 시대가 됐다고 본다”며 “당 대표가 아무리 밖에서 ‘새정치연합이 이런 역할을 하는 당이다’라고 해도 정작 법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속 빈 강정’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민주당의 지지율이 가장 높았던 때는 (내가) 정책위 의장으로 일한 2011년께로 무상급식 무상보육 반값등록금 등 정책 프레임으로 승부하던 시기였다”며 “이처럼 새정치연합이 무엇을 하는 정당인지에 대한 국민적 신뢰와 인식이 없다면 이번 지방선거와 7월 보궐선거, 2016년 총선을 힘있게 끌고 가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박 의원은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와 스타일이 달라 협업이 어렵지 않겠느냐는 질문에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박 의원은 “안 대표가 대선 후보 시절 제시했던 3대 국가관(정의 복지 평화)의 첫째 덕목인 ‘정의’ 파트에서 가장 생각이 비슷한 인물로 저를 꼽았다는 얘기를 들은 적 있다”며 “‘튼튼한 안보’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의 전략적 조합’ 등에 대해서도 생각이 크게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최근 당내에서 일고 있는 ‘기초선거 무공천’ 재검토 논란과 관련해서는 “지방자치의 취지에 걸맞게 시도당위원장에게 (공천 여부 결정) 권한을 위임해서 시도별로 맞춤형 운영을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박 의원은 차기 원내대표의 첫 무대가 될 6월 국회에서 ‘민생’과 ‘민주주의’의 ‘투 트랙 입법’으로 승부하겠다는 전략이다. 박 의원은 “민생 부문에서는 ‘전월세 상한제’, ‘통신비 인하법’, ‘반값등록금법’을 우선 추진하고 민주주의 관점에서는 ‘국가정보원 간첩 증거조작 사건’을 상설특검 1호 법안으로 반드시 내겠다”고 밝혔다.

이호기/고재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