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 안철수 새정치연합 공동대표가 31일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를 위한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김한길, 안철수 새정치연합 공동대표가 31일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를 위한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가 기초선거 정당 공천 폐지를 위한 전방위적인 대여 공세에 나섰다. ‘기초 무공천’에 따른 당내 반발을 무마하는 동시에 약속을 지키는 ‘새정치’ 이미지로 공약을 파기한 여당에 타격을 주려는 승부수로 분석된다. 특히 당 지도부가 이처럼 전면 투쟁에 나설 경우 지방선거에서 패하더라도 책임론이 어느 정도 희석될 것이라는 판단도 깔린 것으로 해석된다.

안철수 새정치연합 공동대표는 31일 최고위원회 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께 예를 갖춰 회담을 제안하고 (기초선거 공천 문제와 관련된) 입장 표명을 부탁했지만 아직 답변이 없다”면서 “정부·여당에 약속 이행과 입장 표명을 다시 한번 더 촉구한다”고 말했다. 김한길 공동대표도 “(박 대통령이) 이러니까 국민 대다수로부터 불통 대통령이라는 소리를 듣는 것”이라며 “북에는 신뢰 프로세스를 요구하면서 제1야당 대표와는 만나지도 대화하지도 않겠다는 대통령이 과연 대한민국 대통령이 맞는가”라고 반문했다.

새정치연합은 김·안 공동대표가 전날에 이어 이틀째 거리로 나가 범국민 서명 운동을 전개하고 신경민, 양승조, 우원식 최고위원이 서울광장에서 연좌 농성에 돌입하는 등 장외투쟁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이날 열린 첫 의원총회에서도 정부·여당을 향한 의원들의 불만과 비난이 쏟아졌다. 설훈 의원은 “김대중 대통령이 과거 (지방자치제 도입을 위해) 단식 투쟁을 했던 것처럼 지도부가 직접 ‘사즉생’의 각오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새정치연합만이 끝까지 ‘무공천’ 원칙을 지켜야 하는지에 관한 당내 논란은 여전히 가라앉지 않는 분위기다. 정청래 의원은 “대선 당시 약속은 무공천이 아니라 기초공천제 폐지이므로 전 당원 투표를 통해 당론을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영민 의원은 “입법을 통한 정당공천제 폐지와 무공천이 본질적으로 같지는 않다”며 “피해 최소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새누리당은 이 같은 야당의 주장에 대해 부당한 ‘정치 공세’라고 일축했다.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 회의에서 “(대통령과의 회담 제안은) 기초선거 공천을 해야 한다는 당내 반발을 무마하기 위한 꼼수”라며 “대통령을 끌어들여 기초 공천 문제를 다시 선거 이슈로 만들어 보려는 속셈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