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따·성폭행…학교폭력 영화 충격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방황하는 칼날' '한공주' 등 개봉
사회적 관심 속 흥행 여부 촉각
사회적 관심 속 흥행 여부 촉각
한 남자(정재영)가 격분한 나머지 열일곱 살 고교생을 야구방망이로 마구 쳐죽인다. 자기 딸을 성폭행하고 살해한 범죄자에 대한 응징이다. 살인자가 된 아버지는 또 다른 공범 청소년을 찾아 나선다. 이제 경찰(이성민)은 공범의 목숨을 보호하기 위해 딸의 아버지를 체포해야만 한다.
오는 10일 개봉하는 ‘방황하는 칼날’(이정호 감독)은 딸을 죽인 청소년 범죄자에게 아버지가 복수하는 이야기다. 17일에는 성폭행당한 여고생의 삶을 추적하는 ‘한공주’(감독 이수진)가 개봉한다. 여중생이 자살한 뒤 남은 가족의 슬픔을 그린 ‘우아한 거짓말’(이한 감독)은 지난달 13일 개봉해 140만명 이상을 모아 손익분기점을 넘었다.
세 영화는 모두 성폭행, 왕따, 자살 등 우리 사회에 만연한 학원폭력 문제를 정면으로 응시하고 있다. 학원폭력 문제가 당사자들의 죽음으로 이어질 만큼 심각해지면서 대중의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영화적인 소재가 됐다.
네덜란드 로테르담과 프랑스 도빌 등 여러 국제영화제에서 수상한 ‘한공주’는 한공주란 이름의 ‘무늬만 공주’인 여고생 이야기다. 무슨 까닭인지 한공주는 전학을 온 뒤 동료 학생들과 어울리지 않고 스스로 왕따가 되려고만 한다. 영화는 퍼즐 같은 이야기를 하나씩 풀어가는 방식으로 한공주가 겪은 충격적인 사건을 들춰낸다.
‘우아한 거짓말’은 자살한 여중생이 가해자들에게 남긴 선물(?)을 하나씩 찾아내면서 학원 내 언어폭력과 ‘왕따’ 문제를 파헤친다. 교묘한 거짓말로 급우를 왕따시키는 가해자 캐릭터가 놀라울 정도로 현실성이 있다.
다른 두 영화에서도 가해자가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면 응징이나 처벌의 효과가 없다는 점을 지적한다. ‘방황하는 칼날’에서 공범은 딸의 아버지가 총구를 들이대자 마지못해 “자수할게요”라고 말한다. 하지만 공범이 미성년자란 이유로 기껏 5년 정도 옥살이를 한 뒤 출소할 것임을 영화는 시사한다.
‘한공주’에서는 오히려 피해자가 설 곳이 없다. 피해자인 한공주는 “저는 잘못한 게 없어요”라고 외치지만, 숨거나 도망 다니다가 극단적인 선택을 한다. 반면 가해 학생들의 부모는 한공주에게 탄원서라도 받을 요량으로 계속 따라다니며 괴롭힌다. 영화는 가해자와 피해자가 뒤바뀐 입장을 잘 그려냈다.
유재혁 대중문화 전문기자 yoojh@hankyung.com
오는 10일 개봉하는 ‘방황하는 칼날’(이정호 감독)은 딸을 죽인 청소년 범죄자에게 아버지가 복수하는 이야기다. 17일에는 성폭행당한 여고생의 삶을 추적하는 ‘한공주’(감독 이수진)가 개봉한다. 여중생이 자살한 뒤 남은 가족의 슬픔을 그린 ‘우아한 거짓말’(이한 감독)은 지난달 13일 개봉해 140만명 이상을 모아 손익분기점을 넘었다.
세 영화는 모두 성폭행, 왕따, 자살 등 우리 사회에 만연한 학원폭력 문제를 정면으로 응시하고 있다. 학원폭력 문제가 당사자들의 죽음으로 이어질 만큼 심각해지면서 대중의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영화적인 소재가 됐다.
네덜란드 로테르담과 프랑스 도빌 등 여러 국제영화제에서 수상한 ‘한공주’는 한공주란 이름의 ‘무늬만 공주’인 여고생 이야기다. 무슨 까닭인지 한공주는 전학을 온 뒤 동료 학생들과 어울리지 않고 스스로 왕따가 되려고만 한다. 영화는 퍼즐 같은 이야기를 하나씩 풀어가는 방식으로 한공주가 겪은 충격적인 사건을 들춰낸다.
‘우아한 거짓말’은 자살한 여중생이 가해자들에게 남긴 선물(?)을 하나씩 찾아내면서 학원 내 언어폭력과 ‘왕따’ 문제를 파헤친다. 교묘한 거짓말로 급우를 왕따시키는 가해자 캐릭터가 놀라울 정도로 현실성이 있다.
다른 두 영화에서도 가해자가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면 응징이나 처벌의 효과가 없다는 점을 지적한다. ‘방황하는 칼날’에서 공범은 딸의 아버지가 총구를 들이대자 마지못해 “자수할게요”라고 말한다. 하지만 공범이 미성년자란 이유로 기껏 5년 정도 옥살이를 한 뒤 출소할 것임을 영화는 시사한다.
‘한공주’에서는 오히려 피해자가 설 곳이 없다. 피해자인 한공주는 “저는 잘못한 게 없어요”라고 외치지만, 숨거나 도망 다니다가 극단적인 선택을 한다. 반면 가해 학생들의 부모는 한공주에게 탄원서라도 받을 요량으로 계속 따라다니며 괴롭힌다. 영화는 가해자와 피해자가 뒤바뀐 입장을 잘 그려냈다.
유재혁 대중문화 전문기자 yoo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