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대전 당시 강제노역에 끌려간 한국과 중국의 피해자들이 일본을 상대로 공조에 나섰다.

중국인 강제징용 피해자와 가족들은 2일 오전 중국 허베이(河北)성의 성도인 스자좡(石家庄)시에서 피해자 추모 행사를 연 뒤 일본 기업을 상대로 중국 법원에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다.

이날 행사에는 한국인 징용 피해자 가족 대표와 한국 변호사도 참석해 연대의 메시지를 전했다.

'2차대전 중 미쓰비시(三菱) 머티어리얼(전 미쓰비시광업주식회사) 피해노동자대표단'(이하 대표단)은 이날 오전 스자좡 핑안(平安)공원 기념비에서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추모 행사를 열어 강제징용으로 희생된 피해자들의 명복을 빌었다.

중국 대표단은 피해자와 가족 등 151명을 원고로 허베이 고급인민법원에 미쓰비시사를 상대로 총 2억2700만 위안(약 394억 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다.

대표단은 한중 간 대일 공조에 대해 "한중 양국 피해자들이 진정으로 의미 있는 공동대응을 시작했다"면서 "이는 역사적인 순간"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대표단은 오후에는 토론회를 열어 한국인 징용자들과 변호사들이 겪은 경험담을 공유하면서 양국간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일본 강점기에 끌려간 중국인 강제징용자는 약 4만 명에 달하며 이 중 8000여 명이 노역 중에 목숨을 잃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