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기술(IT) 업종의 ‘미운 오리’였던 디스플레이 관련주들이 ‘귀하신 몸’이 됐다. 애플이 올해 하반기 출시 예정인 아이폰6의 화면이 5인치대로 커진다는 소식이 반등의 계기를 만들었다. TV용 LCD(액정표시장치) 패널 가격의 하락세가 멈춘 것도 주가에 호재로 작용했다. 1~2월 국내 증시를 이끌었던 반도체 관련주들의 운명은 정반대다. 반도체 경기가 정점을 지났다는 여론이 확산되면서 주가가 빠지고 있다.
그래픽=전희성 기자 lenny80@hankyung.com ○백조가 된 디스플레이주
3일 LG디스플레이는 전 거래일보다 3.15% 오른 2만7800원에 장을 마쳤다. 단기 저점이었던 3월12일 이후 이날까지 주가 상승률이 20.35%에 달한다. 같은 기간 디스플레이용 박막 코팅업체 아바텍(32.45%), LCD 패널에 들어가는 반도체를 만드는 실리콘웍스(8.8%), 패널 부품 제조사 티엘아이(16.95%) 등의 주가도 동반 강세다.
정한섭 SK증권 연구원은 “1년3개월간 이어졌던 LCD 패널 가격 하락세가 3월 들어 멈춘데다 아이폰 대화면 휴대폰 신규 출시, UHD(초고화질) TV 수요 확대 등의 호재가 잇따르면서 관련주들이 움직이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김영우 HMC투자증권 연구원도 “중국 TV 업체들의 LCD 패널 재고가 빠르게 소진되고 있는 만큼 당분간 패널 가격이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스마트폰 분야도 분위기가 좋은 편이다. 삼성전자의 갤럭시S5, 애플의 아이폰6 등 신작들의 출시가 예정돼 있어서다. 기저효과를 누리는 디스플레이만큼은 아니라 하더라도 주가가 쉽게 빠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전체 매출의 60%를 스마트폰 등 모바일기기로 올리고 있는 삼성전기의 주가는 지난달 12일 6만4000원에서 이날 6만7000원으로 소폭 상승했다. 김동원 현대증권 연구원은 “갤럭시S5 효과가 나타나면 주가가 더 움직일 수 있다”며 “1분기에는 흑자전환에 성공하고 2분기에는 1000억원대 영업이익을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시 미운 오리된 반도체주
반도체주들은 3월 이후 하락세로 돌아섰다.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 하락이 주가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했다. 대장주 SK하이닉스는 지난달 16일 3만8800원을 단기 고점으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이날 종가는 전 거래일보다 1.35% 떨어진 3만6550원에 그쳤다.
외국계 증권사의 부정적인 리포트도 주가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달 31일 크레디리요네(CLSA)증권은 SK하이닉스에 대한 매도 리포트를 냈다. 이 보고서는 25나노 공정으로 전환되는 속도가 느린데다 D램 산업의 호황도 오래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3일에는 국내에서도 목표주가 하향 보고서가 나왔다.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목표주가를 4만7000원으로 낮추며 “1분기 내내 내림세였던 D램 현물가격이 2분기 고정 거래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2분기 실적이 1분기에 비해 8%가량 줄어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독립리서치사 올라FN의 임홍빈 대표는 “전자업종 내에서 새로 뜨는 분야로 자금이 이동하는 순환매 움직임이 뚜렷하다”며 “당분간은 디스플레이와 LED가 강세, 반도체가 약세인 국면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증시가 탄핵 정국에 트럼프발(發) 관세 충격으로 흔들리는 상황 속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업종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정보기술(IT) 대장주 네이버와 카카오는 AI 사업으로, 엔터주는 대표 아이돌 그룹의 활동 재개로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다. 이들 업종은 해외 매출 비중이 높아 고환율 수혜를 볼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RX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지수는 최근 한 달(7일 종가 기준)간 8.24% 오르며 KRX 지수 중 1위를 기록했다. 이는 코스피지수(1.34%)와 코스닥지수(3.47%) 상승률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현재 KRX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지수 내 시가총액 상위 1~3위 종목은 네이버·카카오·크래프톤이다. 이들은 AI 사업에 대한 기대로 최근 한 달 동안에만 각각 8.15%, 13.67%, 10.53%씩 상승했다.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미국 빅테크(거대 기술기업) AI 모델(메타 라마)의 10분의 1 비용으로 챗GPT에 맞먹는 대규모언어모델(LLM)을 선보이자 국내에선 네이버와 카카오가 조명을 받았다. 미국이 주도하던 AI 시장에서 후발주자들이 함께 경쟁하는 사업 환경이 펼쳐질 것이란 기대에서다.네이버는 국내에서 AI에 가장 많이 투자한 기업이다. 한국형 AI 모델 개발에 적합한 방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여기에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이사회 의장으로 복귀해 AI 사업을 진두지휘할 것이란 소식도 투자심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카카오와 크래프톤 주가도 AI 사업에 대한 기대가 밀어올렸다. 챗GPT 개발사 오픈AI 창업자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4일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를 만나 AI 협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 정책에 글로벌 증시와 암호화폐 시장이 급락한 가운데, 트럼프 일가가 이번 폭락을 틈타 이더리움을 매입한 정황이 전해졌다.블룸버그통신은 최근 “트럼프 일가의 디파이(탈중앙화 금융) 프로젝트인 월드리버티파이낸셜이 멕시코와 캐나다에 관세를 부과한 여파로 암호화폐 시장이 폭락한 후 수천만달러 상당의 이더리움을 축적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최근 암호화폐 시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이 물가를 자극하고 기준금리 인하 시기를 지연시킬 수 있다는 우려에 급락했다.블록체인 데이터 분석기업 난센에 따르면 월드리버티파이낸셜이 소유한 지갑 주소는 지난 3일 이더리움을 2만1177개 추가로 매수했다. 이 주소는 지난달 이더리움이 횡보하며 약세를 보인 시기에 3억4000만달러(약 4921억원) 규모로 이더리움을 매입했다. 국내 암호화폐거래소 업비트에 따르면 알트코인 대장주 이더리움은 500만원을 반납하고 약세를 이어가 418만원 선까지 후퇴했다.트럼프 일가는 암호화폐 프로젝트인 월드리버티파이낸셜 등을 통해 암호화폐 기반의 대출 등 여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차남 에릭 트럼프도 이더리움 추가 매수를 시사했다. 지난 4일 에릭은 X(옛 트위터)를 통해 “내 생각에는 지금이 이더리움을 매수하기 딱 좋은 타이밍”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틀 후엔 “지금은 비트코인을 매수하기 좋은 시기”라고 말하기도 했다.시장에서는 월드리버티파이낸셜이 토큰을 매도했는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월드리버티파이낸셜은 이에 대해 “우리는 보유한 토큰을 매도하지 않는다”며 “최근 토
순자산 180조원의 상장지수펀드(ETF) 업계에서 수수료 인하 경쟁에 다시 불이 붙고 있다. ETF 업계 ‘투톱’인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선두 다툼 과정에서 총보수는 소수점 넷째자리까지 내려갔다. 비용을 줄일 수 있으니 투자자 입장에선 반가운 소식이다. 전문가들은 자산운용사들이 내세우는 ETF 총보수 뿐만 아니라 숨은 비용까지 따져봐야 한다고 조언한다. 숨은 비용을 포함하면 수수료율이 뒤바뀌는 경우가 있는 데다 장기투자시 적은 비용 차이가 큰 수익률 차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최저수수료 경쟁 반가운 투자자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자산운용은 지난 7일 미국 대표지수형 ETF인 ‘KODEX 미국S&P500’과 ‘KODEX 미국나스닥100’의 총보수를 연 0.0099%에서 연 0.0062%로 인하했다. 6일 미래에셋자산운용이 ‘TIGER 미국S&P500’과 ‘TIGER 미국나스닥100’의 총보수를 기존 대비 10분의 1 수준인 연 0.0068%로 낮추자 맞대응에 나선 것이다. ETF 시장 점유율 1, 2위인 삼성자산운용(점유율 38.1%)과 미래에셋자산운용(35.6%)의 수수료 싸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해 3월에도 월배당형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 ETF인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의 연간 총보수를 0.29%에서 0.08%로 내렸다. 삼성자산운용이 구조가 비슷한 상품인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를 총보수 연 0.09%에 내놓으면서다. 2023년에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이 2차전지 레버리지 ETF의 총보수를 삼성자산운용보다 낮은 수준으로 조정했다. 대형 자산운용사들이 ‘업계 최저 수수료’ 타이틀을 내걸며 엎치락뒤치락하는 것은 ET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