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산하이메탈 "직원 30%가 R&D…보유특허 400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업단지, 혁신의 현장
반도체 장비 핵심소재 '솔더볼' 세계2위 덕산하이메탈
매출 10% R&D투자…전 직원에 자사주 배정
반도체 장비 핵심소재 '솔더볼' 세계2위 덕산하이메탈
매출 10% R&D투자…전 직원에 자사주 배정
울산 북구 효문산업단지에 있는 덕산하이메탈은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인 솔더볼(solder ball)을 만드는 업체다. 솔더볼은 반도체를 패키징할 때 반도체 칩과 전자회로기판(PCB)을 연결해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공 모양의 초정밀 부품이다.
덕산하이메탈이 만드는 솔더볼은 정확한 크기와 높은 구형도를 갖췄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비롯해 미국 중국 일본 등 세계 반도체 업체들에 공급하고 있다. 국내 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세계 시장에서는 일본의 ‘센주 메탈’에 이어 2위권이다.
○초당 2만개 이상 생산
덕산하이메탈은 1999년 창업 시 300만원에 불과했던 매출이 지난해 1243억원으로 급성장했다. 솔더볼 등 반도체 접착 소재 분야에서 605억원, 스마트폰 등의 화면으로 쓰이는 AMOLED(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 분야에서 63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현재 생산하는 솔더볼은 100~200㎛(1㎛는 100만분의 1m)부터 30~70㎛까지 다양하다. 주석 등 합금에 열을 가한 뒤 특수 공정을 거쳐 초당 2만개 이상 생산한다.
이준호 덕산하이메탈 회장은 “숱한 좌절과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소재 분야 한우물만 파온 덕분”이라고 말했다.
○출원 중인 특허만 100여건
이 회장은 “직원 258명 가운데 80명이 연구개발에 매달리고 있다”며 “창업 초기부터 매출의 평균 10%를 연구개발비에 썼다”고 말했다. 끊임없는 연구개발 투자가 성공의 밑바탕이 됐다는 얘기다.
이 회장은 2008년 국내 전자업계에서는 이름조차 생소했던 정공층을 국산화한다며 100억원을 연구개발에 쏟아부었다. 매출이 226억원에 불과했던 당시로써는 무모한 결정이었다.
하지만 OLED 화면을 채택한 스마트폰이 인기를 끌면서 회사는 2011년 매출 1000억원을 넘어서는 등 빠른 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 지난 15년간 확보한 특허만 400여건, 현재 출원 중인 것도 100건을 넘는다.
회사는 이 같은 연구개발 노력 덕분에 솔더볼에 이은 고밀도 솔더 접착성 소재를 올해 출시할 예정이다. 이 제품은 그동안 국내 전자업계가 전량 수입에 의존해 온 것으로 국내 시장 규모만 약 3000억원에 이른다.
○“연구개발이 유일한 생존전략”
이 회장은 차세대 OLED TV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에 주목하며 이 분야 연구개발에도 몰두하고 있다. 한국산업단지공단과 자동차 전자제어장치 및 태양전지용 소재 개발에 나섰다.
이 회장은 “미래 발전인자를 찾지 못하면 영광은 잠시일 뿐”이라며 “소재산업에서는 연구개발만이 유일한 생존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2005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면서 직원 모두에게 우리사주를 액면가에 배정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
덕산하이메탈이 만드는 솔더볼은 정확한 크기와 높은 구형도를 갖췄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비롯해 미국 중국 일본 등 세계 반도체 업체들에 공급하고 있다. 국내 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세계 시장에서는 일본의 ‘센주 메탈’에 이어 2위권이다.
○초당 2만개 이상 생산
덕산하이메탈은 1999년 창업 시 300만원에 불과했던 매출이 지난해 1243억원으로 급성장했다. 솔더볼 등 반도체 접착 소재 분야에서 605억원, 스마트폰 등의 화면으로 쓰이는 AMOLED(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 분야에서 63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현재 생산하는 솔더볼은 100~200㎛(1㎛는 100만분의 1m)부터 30~70㎛까지 다양하다. 주석 등 합금에 열을 가한 뒤 특수 공정을 거쳐 초당 2만개 이상 생산한다.
이준호 덕산하이메탈 회장은 “숱한 좌절과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소재 분야 한우물만 파온 덕분”이라고 말했다.
○출원 중인 특허만 100여건
이 회장은 “직원 258명 가운데 80명이 연구개발에 매달리고 있다”며 “창업 초기부터 매출의 평균 10%를 연구개발비에 썼다”고 말했다. 끊임없는 연구개발 투자가 성공의 밑바탕이 됐다는 얘기다.
이 회장은 2008년 국내 전자업계에서는 이름조차 생소했던 정공층을 국산화한다며 100억원을 연구개발에 쏟아부었다. 매출이 226억원에 불과했던 당시로써는 무모한 결정이었다.
하지만 OLED 화면을 채택한 스마트폰이 인기를 끌면서 회사는 2011년 매출 1000억원을 넘어서는 등 빠른 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 지난 15년간 확보한 특허만 400여건, 현재 출원 중인 것도 100건을 넘는다.
회사는 이 같은 연구개발 노력 덕분에 솔더볼에 이은 고밀도 솔더 접착성 소재를 올해 출시할 예정이다. 이 제품은 그동안 국내 전자업계가 전량 수입에 의존해 온 것으로 국내 시장 규모만 약 3000억원에 이른다.
○“연구개발이 유일한 생존전략”
이 회장은 차세대 OLED TV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에 주목하며 이 분야 연구개발에도 몰두하고 있다. 한국산업단지공단과 자동차 전자제어장치 및 태양전지용 소재 개발에 나섰다.
이 회장은 “미래 발전인자를 찾지 못하면 영광은 잠시일 뿐”이라며 “소재산업에서는 연구개발만이 유일한 생존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2005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면서 직원 모두에게 우리사주를 액면가에 배정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