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Fed)이 경기부양과 초저금리 기조를 상당기간 유지하기로 내부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부양책 조기 종료를 예상하는 관측이 확산되는 것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ed는 또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이전에 비공개 화상회의를 열어 기준금리 인상과 연계할 실업률 목표치를 폐지하기로 했다.

이는 Fed가 9일(현지시간) 공개한 3월 FOMC 회의록에서 확인됐다.

회의록은 "지난달 18∼19일 회의에서 일부 위원은 기준금리 인상 시점에 대한 평균 예상이 시장 기대치보다 빨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가 경기 확장 정책을 조기 축소한다는 쪽으로 오도될까 우려했다"고 설명했다.

Fed가 금리 인상 단행 시점을 앞당기기 위해 현행 양적완화 정책을 조기 종료할 것이라는 관측이 시장 일각에서 확산하는 점을 우려했다는 의미다.

Fed는 특히 시장과 투자자들에게 금리 인상과 관련한 더 명료한 포워드 가이던스(선제 안내)를 주려고 노력한 것으로 파악됐다.

회의록에 따르면 Fed는 FOMC 회의를 개최하기 2주일 전인 지난달 4일 이례적으로 화상 회의를 별도로 열어 이 문제를 논의하고 나서 금리 인상 시점을 실업률 목표치(6.5%)와 연계하지 않기로 이미 결정했다.

실제 최근 실업률이 목표치에 근접하면서 안내 지표로는 '낡았다'(outdated)는 판단에 따라 만장일치로 이를 폐기 처분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치밀한 사전 준비와 동료들과의 소통 강화를 강조하는 재닛 옐런 신임 의장의 스타일을 보여주는 사례다.

Fed는 이어 지난달 FOMC 회의 직후 성명을 통해 포워드 가이던스를 수정하면서 실업률 목표치를 없애는 대신 고용 상황 전반과 물가상승률, 경기 전망 등 '광범위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면서 성명에서 "여러 요인을 평가할 때 현 추세로라면 채권 매입 프로그램을 끝내고서도 '상당 기간' 초저금리 기조를 이어가는 게 적절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옐런 의장이 같은 날 기자회견에서 이 기간을 '약 6개월'로 제시하면서 Fed의 금리 인상이 예상보다 빨라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돌아 세계 금융 시장에 큰 충격을 주기도 했다.

그는 며칠 뒤 연설에서 현 고용 상황은 아직 Fed의 경기 부양 정책을 필요로 한다고 말해 자신의 발언을 사실상 번복했었다.

따라서 이날 공개된 FOMC 회의록을 보면 Fed 내부에서는 경기부양책 조기 중단 관측이 확산되는 것을 우려했다는 점에서 경기 확장 및 초저금리 기조를 상당 기간 이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논리가 아직 우세한 것으로 해석된다.

회의록은 "위원들이 노동 시장이 아직 완전하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데 대체로 동의했으나 얼마만큼 지체되는지, 실업률이 고용 상황을 얼마나 잘 표현하는지에 대해서는 견해가 다양했다"고 소개했다.

다음 FOMC 회의는 이달 29∼30일 개최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Fed가 이번 회의에서도 채권 매입 규모를 100억달러 안팎 더 감축하는 이른바 테이퍼링(tapering)을 지속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경닷컴 증권금융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