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하루 평균 교통량이 가장 많은 도로는 자유로인 것으로 조사됐다.





교통량 가장 많은 도로 `자유로`



국토교통부는 고속국도와 일반국도, 지방도 등 주요 도로에 대한 2013년도 교통량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15일 밝혔다.



자유로(일반국도 77호선·서울시∼장항 나들목 구간·10차로)는 지난해 하루 평균 23만8천768대의 차량이 이용해 전국의 도로 노선 가운데 교통량이 가장 많았다.



그다음은 경부고속국도 신갈∼양재 구간(8차로)으로 1일 평균 19만5천177대가 오갔다. 이어 서울외곽순환고속국도 하남∼퇴계원 구간(8차로)이 18만8천427대, 같은 도로 서운∼안현 구간(8차로)이 18만7천753대, 같은 도로 일산∼서운 구간(8차로)이 17만8천256대로 집계됐다.



하루 평균 교통량을 다시 차로 수로 나눠 계산한 1개 차로당 교통량 순위는 경부고속국도 신갈∼양재 구간(2만4천397대), 자유로 서울시∼장항 나들목 구간(2만3천876대), 과천의왕고속국도 천천 나들목∼서수원 나들목 구간(2만3천828대), 영동고속국도 안산∼신갈 구간(2만3천614대), 서울외곽순환고속국도 하남∼퇴계원 구간(2만3천553대) 순이었다.



한편 지난해 전국 주요 도로의 하루 평균 교통량은 1만3천162대로 전년보다 2.8% 늘었다.



차종별 교통량을 보면 승용차는 전년보다 6.7% 늘었지만, 버스(-0.7%)와 화물차(-6.5%)는 감소했다.



월별로는 휴가철인 8월의 교통량이 전체 평균의 107.9%로 가장 많았다. 지역별로는 강원도의 8월 교통량이 지역 평균 대비 133.9%로 가장 많았다.



도로 종류별 교통량 분석에서는 고속도로의 경우 전년보다 3.5%, 일반국도는 2.6%, 지방도는 0.1%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속도로나 일반국도의 이용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 것이다.



지역별 교통량은 경기도가 가장 많아 하루 평균 3만2천778대가 다녔고, 정부 부처가 이전한 세종시가 1만3천712대로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최근 10년(2004∼2013년) 사이 자동차 등록대수는 평균 3% 늘었지만 교통량은 평균 1% 수준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제공)


한국경제TV 핫뉴스
ㆍ고명환♥임지은 10월 결혼··"교회 오빠로 만나 속도 위반 아냐"
ㆍ`마녀의 연애` 엄정화-박서준 파격 키스신··진짜 키스한 이유는?
ㆍ먹기만 했는데 한 달 만에 4인치 감소, 기적의 다이어트 법!!
ㆍ`서초교회 잔혹사` 욕망에 사로잡힌 한국 교회··`사랑의 교회` 진실은?
ㆍ최수현 "금융 사고시 은행장도 엄벌"‥`최후통첩`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