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6.4 지방선거가 5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유력한 서울시장 후보들도 부동산·개발 공약들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용산사업`와 `뉴타운·재개발` 등을 중심으로 후보마다 각기 다른 `서울의 미래`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표심을 노린 것인데 꼼꼼히 따져보실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엄수영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무산된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을 다시 수면위로 떠오르게 한 것은 정몽준 새누리당 의원입니다.



정몽준 의원은 서울시의 통합개발을 우려하며 "기본 계획은 종합적으로, 사업시행은 구역을 3~4개로 나눠 단계 추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에대해 박원순 서울시장은 "철지난 레코드판을 돌리는 것"이라며 "철도정비창 부지와 서부이촌동 지역을 분리해 맞춤형 개발이 필요하다"고 반박했습니다.



이혜훈 후보는 당장 재개발은 힘들지만 장기적으로 큰 그림을 그려야한다는 원론 수준의 입장을 밝혔습니다.



김황식 전 총리는 "여의도는 금융 허브로, 용산은 국제업무지구로, 노들섬은 문화의 중심으로 `삼각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공약을 내놨습니다.



또 다른 쟁점은 `뉴타운·재개발` 입니다.



서울시장 유력 후보 가운데 재건축·재개발 규제 완화에 가장 나서고 있는 후보는 김황식 전 총리입니다.



김 전 총리는 지난 6일 성수전략정비구역을 찾아 "박원순 시장 취임 이후 `서랍 속 규제` 때문에 인·허가 절차가 지연돼 시민들이 막대한 재산상의 손해를 봤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에따라 김 전 총리는 재건축 연한을 현행 40년에서 30년으로 10년 단축하고 용적률 규제를 완화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정몽준 후보와 이혜훈 후보는 뉴타운을 일방적으로 해제할 것이 아니라 `맞춤형 정책`으로 진행하는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금까지 추진해 온 `출구전략`을 이어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대신 오는 2030년까지 도심권, 동북권, 서북권, 동남권, 서남권 등 5개 구역으로 나눠 각 지역별 특성에 따른 성장거점으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입니다.



다가오는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서울의 재개발·재건축 지분가격이 소폭 상승하는 등 부동산 시장에도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별 표심 공략을 위한 무분별한 공약이 난무하면서 부동산 시장의 혼선이 선거 전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엄수영입니다.


엄수영기자 boram@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고명환♥임지은 10월 결혼··"교회 오빠로 만나 속도 위반 아냐"
ㆍ`마녀의 연애` 엄정화-박서준 파격 키스신··진짜 키스한 이유는?
ㆍ먹기만 했는데 한 달 만에 4인치 감소, 기적의 다이어트 법!!
ㆍ`서초교회 잔혹사` 욕망에 사로잡힌 한국 교회··`사랑의 교회` 진실은?
ㆍ최수현 "금융 사고시 은행장도 엄벌"‥`최후통첩`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