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암·정릉·구의·송정 '재건축 해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정 1~5구역·미아·길음 등
뉴타운 내 정비구역 9곳 취소
뉴타운 내 정비구역 9곳 취소
서울 신정동, 종암동 등 서울시내 14개 뉴타운·재개발·재건축 추진 구역이 일제히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현재 주변 집값과 예상되는 아파트 분양가격을 감안할 때 사업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개포동 압구정동 등 일부 강남지역 재건축 추진단지와 달리 강북을 중심으로 한 상당수 정비사업 추진 지역에서는 이 같은 사업 포기 사례가 이어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서울시는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종암·정릉·구의·송정·천호동 일대 5곳을 주택 재건축·재개발 정비구역에서 해제하기로 했다고 17일 발표했다. 이들 지역은 노후한 단독주택이나 빌라를 새 아파트로 신축하려던 곳이다. 그러나 대부분 추진위원회 승인이 취소됐거나 토지 등의 소유자(조합원) 30% 이상이 사업추진에 반대해 구역해제를 요청했다는 설명이다.
시 도시계획위는 서울시내 주요 뉴타운지구 내 9개 구역도 함께 정비구역에서 해제했다. 신정뉴타운의 주택재개발구역(1-5구역)과 미아뉴타운 내 도시환경정비구역 등이 한꺼번에 해제가 확정됐다. 미아·길음·하월곡·천호·성내동의 도시환경정비사업은 당초 낙후된 도심 상업지를 재개발하려던 곳이다. 이들 지역도 토지 등의 소유자 30% 이상이 해제를 신청해 각 구청에서 해제 요구안을 서울시에 제출했다.
이번 결정으로 2012년 2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 개정된 이후 정비구역에서 해제된 곳은 총 142개로 늘어났다.
서울시는 2012년 초 ‘뉴타운·재개발사업 수습방안’(출구전략)을 내놓은 뒤 총 606개 정비구역 중 324개를 대상으로 주민들의 사업추진 의사를 조사했다. 지난 2월 말 기준 324개 구역 중 286개에 대한 조사를 끝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경기가 침체되면서 분양가격이 떨어지거나 사업이 장기화돼 전체 정비사업 수익성이 나오지 않는 곳이 속출했다”며 “청산비용 부담이 적은 사업 초기 단계 구역 중심으로 해제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
개포동 압구정동 등 일부 강남지역 재건축 추진단지와 달리 강북을 중심으로 한 상당수 정비사업 추진 지역에서는 이 같은 사업 포기 사례가 이어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서울시는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종암·정릉·구의·송정·천호동 일대 5곳을 주택 재건축·재개발 정비구역에서 해제하기로 했다고 17일 발표했다. 이들 지역은 노후한 단독주택이나 빌라를 새 아파트로 신축하려던 곳이다. 그러나 대부분 추진위원회 승인이 취소됐거나 토지 등의 소유자(조합원) 30% 이상이 사업추진에 반대해 구역해제를 요청했다는 설명이다.
시 도시계획위는 서울시내 주요 뉴타운지구 내 9개 구역도 함께 정비구역에서 해제했다. 신정뉴타운의 주택재개발구역(1-5구역)과 미아뉴타운 내 도시환경정비구역 등이 한꺼번에 해제가 확정됐다. 미아·길음·하월곡·천호·성내동의 도시환경정비사업은 당초 낙후된 도심 상업지를 재개발하려던 곳이다. 이들 지역도 토지 등의 소유자 30% 이상이 해제를 신청해 각 구청에서 해제 요구안을 서울시에 제출했다.
이번 결정으로 2012년 2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 개정된 이후 정비구역에서 해제된 곳은 총 142개로 늘어났다.
서울시는 2012년 초 ‘뉴타운·재개발사업 수습방안’(출구전략)을 내놓은 뒤 총 606개 정비구역 중 324개를 대상으로 주민들의 사업추진 의사를 조사했다. 지난 2월 말 기준 324개 구역 중 286개에 대한 조사를 끝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경기가 침체되면서 분양가격이 떨어지거나 사업이 장기화돼 전체 정비사업 수익성이 나오지 않는 곳이 속출했다”며 “청산비용 부담이 적은 사업 초기 단계 구역 중심으로 해제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