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응시하는 N수생이 20만명 안팎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N수생 규모가 20만명을 돌파할 경우 2001학년도(26만9059명) 이후 처음이다. 2일 종로학원이 역대 N수생 응시자 수와 올해 고등학교 3학년 학생 수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2026학년도 수능 N수생은 최대 20만2762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25학년도 N수생(18만1893명)보다 11.5% 늘어난 규모다. N수생이 20만명을 넘긴 사례는 1994학년도부터 2001학년도까지 총 8번 있었다. N수생 수가 가장 많았던 해는 1996학년도(31만3828명)다. 최근 5년간 N수생 규모는 2021학년도 14만6761명, 2022학년도 14만9111명, 2023학년도 15만7791명, 2024학년도 17만7942명, 2025학년도 18만1893명으로 매년 늘고 있다. 취업난 등의 여파로 상위권 대학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진 영향이다.N수생 비중은 2001학년도 수능 이후 줄곧 20%대를 유지해 오다 2020학년도(28.2%)부터 상승 곡선을 그렸다. 2023학년도(31.1%)에 22년만에 30%대를 돌파한 후 지난해까지 3개년 연속으로 30%대를 유지했다. 의과대학 정원 확대로 의대 진학을 희망하는 N수생도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종로학원 관계자는 “의대 증원 결정으로 2025학년도 수능에도 역대급 N수생이 몰렸다”며 “이번에도 의대 모집 조
오는 3월부터 시작하는 전공의 수련에 복귀하는 사직 레지던트는 전체의 2.2%에 불과한 199명이었다. 이중 대표적인 기피 과인 산부인과 지원자는 단 1명이었다.2일 보건복지부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윤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 산부인과 지원자는 레지던트 4년 차 1명이었다.이외에도 방사선종양학과 3명, 피부과 4명, 비뇨의학과·성형외과·안과 각각 5명, 신경과·외과 각각 7명, 소아청소년과·정신건강의학과 각각 9명 등 대부분 과목 지원자가 한 자릿수에 그쳤다. 다만 인기 과로 분류되는 내과와 정형외과는 지원자가 각각 24명, 22명이었다.전국 221개 수련병원은 지난달 15일부터 19일까지 레지던트 9220명을 대상으로 상반기 전공의 모집을 진행한 결과다. 연차별로는 레지던트 1년 차 17명(0.6%), 2년 차 54명(2.1%), 3년 차 52명(2.1%), 4년 차 76명(4.9%)이었다.이들에 앞서 진행된 2025년도 상반기 레지던트 1년 차 모집 때도 선발 인원이 모집 정원 3594명의 5%에 불과한 181명이었고, 이 중 산부인과엔 1명만 선발된 바 있다.의대 정원으로 촉발된 의정 갈등 장기화 영향으로 기피 과인 산부인과의 인프라가 취약해지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산부인과의 경우, 산모 고령화와 시험관 임신 시술 증가 등으로 고위험 임산부가 늘어나고 있지만, 전문의 부족과 분만 기피 현상으로 분만 기관은 65% 줄었고, 전국 250개 지자체 중 분만 병원이 없는 분만 취약지가 63곳에 달한다고 대한의학회의 '필수의료 정책연구 위원회'는 밝혔다.대한산부인과학회는 "향후 5~10년 이내에 많은 대학병원 산과 교수가 소멸할 위기"라며 "산부인과
연인을 폭행한 혐의로 징역 9개월을 선고받았던 스포츠 트레이너 황철순이 출소 후 근황을 전하면서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구속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언급했다.황철순은 지난달 30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출소하게 되었습니다'라는 영상을 통해 출소 심경을 밝혔다. 그러면서 서울구치소 수감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바로 밑 방에 있었다"고 말했다.황철순은 "최근 바로 밑에 방에 높으신 분이 들어오셔서 서울 구치소 앞은 떠들썩하다"며 "잘못의 유무를 떠나 사람 대 사람으로서 건강을 잃지 않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그러면서 구치소 생활에 대해 "할 수 있는 모든 긍정적인 행동은 다 했다"고 전하면서, 지난 삶에 대해 "스스로 열심히 살고 있는가를 되묻고 남과 비교하며 기준을 정하는 세상에서 비교 불가의 대상으로 살아보고 싶었다. 남들의 24시간을 48시간처럼 바쁘게 살아봤고, 사업과 사람에게 지쳐보며 많은 경험을 해봤다"고 돌아봤다.황철순은 지난해 10월 16일 전남 여수시의 한 건물에서 연인 A 씨의 얼굴과 머리를 주먹으로 20차례 이상 때리고 발로 얼굴을 여러 차례 걷어찬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고, 같은 해 8월에도 A 씨를 폭행한 혐의로 조사를 받았다. 황철순의 폭행으로 A씨는 3주간 치료가 필요한 상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황철순은 1심에서 징역 1년을 선고받고 법정구속 됐지만, 2심에서는 "(황철순이) 모든 범행을 인정하고 반성문을 여러 차례 써 반성하는 모습을 보여줬다"며 징역 9개월로 형량이 줄었다. 황철순은 상고를 포기하고 수감 생활을 이어왔다.황철순은 "사건의 발단과 이유를 떠나, 저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