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함이 세월호 구조 현장에 투입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군당국은 통영함을 1년 7개월전에 진수했지만 장비 성능 검증을 하지 못해 세월호 구조 현장에 투입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국방부 김민석 대변인은 통영함을 세월호 구조에 투입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장비가 정상적으로 잘 탑재돼 있지만 제성능을 낼 수 있는지 확인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군은 지난 2012년 9월 경남 거제 대우조선해양의 옥포조선소에서 수상구조함인 통영함(3,500t급)을 진수했다. 통영함은 고장으로 움직일 수 없거나 좌초된 함정을 구조하거나 침몰한 함정의 탐색·인양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함정이다. 하지만 이 통영함이 세월호 구조에는 투입되지 못했다.
통영함은 기존 구조함보다 뛰어난 탐색, 구조 능력을 갖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조임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음파탐지기와 최대 수중 3,000m까지 탐색이 가능한 무인수중로봇 등이다.
게다가 통영함에는 잠수요원이 수심 90m에서 구조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함께 최대 8명까지 들어가는 치료 감압장비(챔버)와 중형 헬기가 이·착륙할 수 있는 비행갑판을 갖춰 환자의 신속한 치료와 이송도 가능하다.
통영함은 시험운전을 거쳐 지난해 하반기 해군에 인도될 예정이었지만 지연되고 있다.
이에 진수한지 2년이 다되가도록 장비 성능 검증을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비판이 일고 있다.
통영함 관련 비판이 거세지자 군 당국은 세월호 구조현장에는 평택함과 청해진함,다도해함 등 구조함 3척이 이미 투입돼 있어 구조지원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세월호 구조 현장에 가지 못하는 통영함에 누리꾼들은 "세월호 침몰, 통영함 진짜 답답하다" "세월호 침몰, 이럴 때 통영함을 썼어야지" "세월호 침몰, 이럴 때 못쓸 거 왜 돈을 썼나요" "세월호 침몰, 통영함 세상에서 제일 비싼 관상용 구조함일듯"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