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 소비 회복…갈치 등 매출 증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롯데마트 생물생선 17% 증가
방사능 공포 줄고 어획량은 늘어
방사능 공포 줄고 어획량은 늘어
급감했던 수산물 소비가 늘고 있다. 방사능 우려가 줄고 주요 생선 어획량이 늘면서 생물 생선의 소비 회복세가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롯데마트는 올해 수산물 매출이 지난해 동기 대비 4.4% 늘었다고 20일 밝혔다. 특히 전체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생물 생선 판매가 17.4% 증가했다. 반면 반건조 생선 판매는 1년 전보다 34.9% 하락했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방사능 우려가 줄어들었고 갈치, 고등어 등 주요 생선의 어획량도 늘어 가격이 떨어졌다”며 “생물 생선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최근 몇 년간 반건조 생선은 생물 생선의 대체재로 인기를 끌었다. 저장이 쉬워 생물 수급이 불안정한 상황에서도 공급이 원활해 가격 변동폭이 작았기 때문이다.
이달 들어 생물 생선은 갈치 56.8%, 가자미 41.5%, 대구 11.6%, 조기 11.6% 등 전 품목에 걸쳐 고르게 매출이 늘고 있다. 갑각류, 오징어 매출도 각각 55%, 22.5% 증가했다.
이용호 롯데마트 수산상품기획자는 “생물 생선에 대한 소비 회복으로 수산물 매출이 늘고 있다”며 “이 같은 추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현동 기자 gray@hankyung.com
롯데마트는 올해 수산물 매출이 지난해 동기 대비 4.4% 늘었다고 20일 밝혔다. 특히 전체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생물 생선 판매가 17.4% 증가했다. 반면 반건조 생선 판매는 1년 전보다 34.9% 하락했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방사능 우려가 줄어들었고 갈치, 고등어 등 주요 생선의 어획량도 늘어 가격이 떨어졌다”며 “생물 생선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최근 몇 년간 반건조 생선은 생물 생선의 대체재로 인기를 끌었다. 저장이 쉬워 생물 수급이 불안정한 상황에서도 공급이 원활해 가격 변동폭이 작았기 때문이다.
이달 들어 생물 생선은 갈치 56.8%, 가자미 41.5%, 대구 11.6%, 조기 11.6% 등 전 품목에 걸쳐 고르게 매출이 늘고 있다. 갑각류, 오징어 매출도 각각 55%, 22.5% 증가했다.
이용호 롯데마트 수산상품기획자는 “생물 생선에 대한 소비 회복으로 수산물 매출이 늘고 있다”며 “이 같은 추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현동 기자 gr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