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중장기 투자처로 한국 주식시장 주목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마르짓 샹카 BNY멜론 본부장
기초체력 상대적으로 우수…자금유입 당분간 지속
기초체력 상대적으로 우수…자금유입 당분간 지속
“미국 증시에서 일단 차익을 실현한 자금이 유럽과 신흥국, 특히 한국 증시로 유입될 것입니다.”
사마르짓 샹카 BNY(Bank of NY)멜론 글로벌마켓 외환전략 본부장(사진)은 21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미국을 비롯한 세계 경기가 살아나고 있지만 완만한 속도로 회복하고 있기 때문에 높은 수익률을 원하는 투자자들이 미국에서 유럽과 아시아로 투자지역을 넓히고 있다”며 “한국 주식시장 박스권 탈피의 관건인 외국인 자금 유입도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BNY멜론은 27조4000억달러 규모의 자산을 운용·관리하는 글로벌 금융회사다. 샹카 본부장은 바클레이즈, JP모간, 미국 스테이트스트리트 등을 거쳐 현재 BNY멜론에서 글로벌 기관투자가에 시장분석과 투자전략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샹카 본부장은 한국 주식시장으로 외국인 자금이 들어오는 이유로 상대적으로 튼튼한 경제의 기초체력(펀더멘털)을 꼽았다. 그는 “최근 한국은행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로 올렸고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4.2%)도 기존 전망치 대비 0.2%포인트 상향조정했다”며 “한국의 펀더멘털이 다른 신흥국 대비 튼튼하기 때문에 외국인들이 중장기 투자처로 한국 주식시장을 주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 채권에 대한 선호도도 높아질 것으로 분석했다. 샹카 본부장은 “한국의 근원인플레이션율은 2.1%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의 국채와 회사채 투자에 관심을 갖고 있다”며 “특히 투자지역 다각화에 나서고 있는 일부 국부펀드와 중앙은행의 자금이 유입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 주식시장의 등락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중국 경제에 대해서도 샹카 본부장은 ‘낙관적’으로 전망했다. 그는 “중국 정부가 신용시장과 부동산시장을 잘 관리하고 있다고 본다”며 “중국이 연간 10~12%대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순 없겠지만 연 5~8%대는 유지할 것이고 이 정도만 돼도 신흥국은 물론 선진국 경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샹카 본부장은 한국 증시의 외국인 자금 유입과 함께 달러 약세 추이로 인해 원화 강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
사마르짓 샹카 BNY(Bank of NY)멜론 글로벌마켓 외환전략 본부장(사진)은 21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미국을 비롯한 세계 경기가 살아나고 있지만 완만한 속도로 회복하고 있기 때문에 높은 수익률을 원하는 투자자들이 미국에서 유럽과 아시아로 투자지역을 넓히고 있다”며 “한국 주식시장 박스권 탈피의 관건인 외국인 자금 유입도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BNY멜론은 27조4000억달러 규모의 자산을 운용·관리하는 글로벌 금융회사다. 샹카 본부장은 바클레이즈, JP모간, 미국 스테이트스트리트 등을 거쳐 현재 BNY멜론에서 글로벌 기관투자가에 시장분석과 투자전략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샹카 본부장은 한국 주식시장으로 외국인 자금이 들어오는 이유로 상대적으로 튼튼한 경제의 기초체력(펀더멘털)을 꼽았다. 그는 “최근 한국은행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로 올렸고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4.2%)도 기존 전망치 대비 0.2%포인트 상향조정했다”며 “한국의 펀더멘털이 다른 신흥국 대비 튼튼하기 때문에 외국인들이 중장기 투자처로 한국 주식시장을 주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 채권에 대한 선호도도 높아질 것으로 분석했다. 샹카 본부장은 “한국의 근원인플레이션율은 2.1%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의 국채와 회사채 투자에 관심을 갖고 있다”며 “특히 투자지역 다각화에 나서고 있는 일부 국부펀드와 중앙은행의 자금이 유입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 주식시장의 등락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중국 경제에 대해서도 샹카 본부장은 ‘낙관적’으로 전망했다. 그는 “중국 정부가 신용시장과 부동산시장을 잘 관리하고 있다고 본다”며 “중국이 연간 10~12%대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순 없겠지만 연 5~8%대는 유지할 것이고 이 정도만 돼도 신흥국은 물론 선진국 경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샹카 본부장은 한국 증시의 외국인 자금 유입과 함께 달러 약세 추이로 인해 원화 강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