획일적인 기준 적용이나 상이한 분야에 대한 평가와 합산으로 비판을 받아온 동반성장지수 평가가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와 동반성장위원회, 상생협력연구회는 23일 여의도 전경련콘퍼런스센터에서 `공유가치창출(CSV) 상생협력 평가모델 발표회`를 열고 동반성장지수의 새 평가 모델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주제발표에 나선 이성근 성신여대 교수는 기업 규모와 경영 역량, 업종 특성 등을 반영한 5단계의 차등 평가 방식을 제안했습니다.



새로운 평가안은 기업 역량과 현실 여건에 맞게 평가 대상 기업의 수준을 1~5단계로 나누고, 해당 단계에서 기준을 만족한 기업은 다시 상위 단계로 넘어가면서 이행 수준을 높여나가는 방식입니다.



김수욱 서울대 교수는 "중소기업 체감도는 범용ㆍ우선ㆍ핵심 기술업체 등 다양한 동반성장의 수요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아 대기업이 협력사의 어떤 분야를 지원할지 판단하기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이종욱 서울여대 교수는 "동반성장지수 인센티브의 실효성이 부족하다"며 "5단계로 기업을 평가할 경우 적극적인 보상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양금승 전경련 중소기업협력센터 소장은 “동반성장지수 시행으로 대기업의 동반성장인식이 향상되고 협력사의 경영여건이 개선되는 성과가 있었지만, 주요 대기업의 협력사 지원평가에만 의존해 기업생태계 강건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면서

“산업생태계 전반에 동반성장의 기업문화를 꽃피우기 위해 기업역량에 따라 누구나 참여해 이행노력에 상응한 인센티브를 받는 구조로 디자인 된 ‘공유가치창출형(CSV) 상생협력 평가모델’이 동반성장지수의 대안모델로 채택돼야 하며, 이를 위해 앞으로 정부와 동반성장위원회에 건의하고 제도화 방안을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유은길기자 egyou@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리쌍 길 음주운전 `무한도전` 자진하차 "무도 9주년 무슨 일?"
ㆍ일베 노란리본, 실종자 가족들 모욕 비하 파문‥누리꾼들 "너무하네"
ㆍ먹기만 했는데 한 달 만에 4인치 감소, 기적의 다이어트 법!!
ㆍ지만원 세월호 음모론 `일파만파`··"시체장사 한두번 당했나?" 망언
ㆍ박 대통령, 시진핑과 통화 "북한 설득해 달라"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