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 뒤늦게 '다이빙벨' 들여오다 발각…누리꾼 "어서 입장 밝히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종인 다이빙벨
세월호 침몰 사고 구조당국으로부터 불허 통보를 받았던 수중인명 구조장비 다이빙벨이 뒤늦게 해경 측으로 공수된 사실이 밝혀져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21일 밤 팩트TV와 고발뉴스의 팽목항 현장 합동생방송에 따르면 해경과 세월호 사건의 실종자 수색 계약을 맺은 언딘이 인명구조를 위해 필요하다며 다이빙벨을 보유하고 있는 대학에 긴급 요청해 23일 진도 팽목항으로 부터 2.3Km 거리에 있는 서망항으로 이송해 왔다고 전해졌다.
이어 고발뉴스 취재팀이 밝힌 내용에 따르면 대학관계자는 다이빙벨을 요청한 곳이 어딘지 확인할 수는 없으나 학교 쪽으로 급하게 협조 요청이 들어와 잠시 빌려준 곳이며, 현장 투입을 위해 서망항에서 사전 설치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설명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날 방송에서 이종인 대표는 전화 인터뷰를 통해 "해경으로부터 투입된 다이빙벨은 2인용으로 감압 기능이 없는 일본식"이라며 "실종자 가족들의 항의를 우려해 면피용으로 준비했다면 안될 일"이라고 거세게 비난했다.
앞서 지난 21일 이종인 대표는 사재를 털어 준비한 다이빙벨과 CCTV 등 생존자 구조 장비를 다이빙벨에 싣고 침몰 현장에 갔으나, 해경은 기존에 작업을 하고 있는 잠수부들과 충돌 위험이 있으며, 바지선을 고정하기 위해 설치하는 금속 와이어가 다른 바지선의 와이어와 마찰로 끊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불허를 통보했다.
그러나 이종인 대표는 다이빌벨이 바지선과 세월호에 금속와이어를 고정하고 엘리베이터와 같이 상하로 이동하는 방식이라며 잠수부와 충돌 가능성이 극히 적을 뿐만 아니라, 마찰에 의한 금속와이어 절단은 1년이 걸려도 있을까 말까 한 일이라면서, 그렇다면 와이어가 끊어질 때 까지 만이라도 생존자 수색을 하게 해주면 되지 않냐고 반발했다.
이날 오후 현장에서 철수한 이종인 대표는 22일 오전까지 해경의 입장변화를 기다려 보겠다고 했으나, 아무런 통보가 없자 "생존자를 찾아 에어포켓까지 들어가고 싶었다"면서 아쉬움을 토로한 뒤, 장비를 챙겨 끝내 철수했다.
또한 보도 영상에 따르면 해경이 계약업체 잠수부를 제외한 민간의 침몰현장 투입을 가로막은 것은 이뿐만이 아니다.
22일 오후에는 생존자 수색을 위해 엄격한 경쟁을 거친 민간잠수부 70명이 침몰 현장에 도착해 해경 바지선에 접안하려 했으나 해경 측에서 욕설을 하자 철수한 사실도 있다. 또한 생존자 구출에 있어서 1분 1초가 아쉬운 시점에서 해경은 민간잠수부들을 고속단정 위에서 8시간 동안 대기시키는 등 수색작업 투입을 제한해 왔다고 전해졌다.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다이빙벨 몰래 투입이라니. 말이 됩니까", "해경 어서 입장 표명 하길", "국민들을 바보로 아나", "하루 빨리 투입해서 구조를 했어야지" 등 격분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
세월호 침몰 사고 구조당국으로부터 불허 통보를 받았던 수중인명 구조장비 다이빙벨이 뒤늦게 해경 측으로 공수된 사실이 밝혀져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21일 밤 팩트TV와 고발뉴스의 팽목항 현장 합동생방송에 따르면 해경과 세월호 사건의 실종자 수색 계약을 맺은 언딘이 인명구조를 위해 필요하다며 다이빙벨을 보유하고 있는 대학에 긴급 요청해 23일 진도 팽목항으로 부터 2.3Km 거리에 있는 서망항으로 이송해 왔다고 전해졌다.
이어 고발뉴스 취재팀이 밝힌 내용에 따르면 대학관계자는 다이빙벨을 요청한 곳이 어딘지 확인할 수는 없으나 학교 쪽으로 급하게 협조 요청이 들어와 잠시 빌려준 곳이며, 현장 투입을 위해 서망항에서 사전 설치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설명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날 방송에서 이종인 대표는 전화 인터뷰를 통해 "해경으로부터 투입된 다이빙벨은 2인용으로 감압 기능이 없는 일본식"이라며 "실종자 가족들의 항의를 우려해 면피용으로 준비했다면 안될 일"이라고 거세게 비난했다.
앞서 지난 21일 이종인 대표는 사재를 털어 준비한 다이빙벨과 CCTV 등 생존자 구조 장비를 다이빙벨에 싣고 침몰 현장에 갔으나, 해경은 기존에 작업을 하고 있는 잠수부들과 충돌 위험이 있으며, 바지선을 고정하기 위해 설치하는 금속 와이어가 다른 바지선의 와이어와 마찰로 끊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불허를 통보했다.
그러나 이종인 대표는 다이빌벨이 바지선과 세월호에 금속와이어를 고정하고 엘리베이터와 같이 상하로 이동하는 방식이라며 잠수부와 충돌 가능성이 극히 적을 뿐만 아니라, 마찰에 의한 금속와이어 절단은 1년이 걸려도 있을까 말까 한 일이라면서, 그렇다면 와이어가 끊어질 때 까지 만이라도 생존자 수색을 하게 해주면 되지 않냐고 반발했다.
이날 오후 현장에서 철수한 이종인 대표는 22일 오전까지 해경의 입장변화를 기다려 보겠다고 했으나, 아무런 통보가 없자 "생존자를 찾아 에어포켓까지 들어가고 싶었다"면서 아쉬움을 토로한 뒤, 장비를 챙겨 끝내 철수했다.
또한 보도 영상에 따르면 해경이 계약업체 잠수부를 제외한 민간의 침몰현장 투입을 가로막은 것은 이뿐만이 아니다.
22일 오후에는 생존자 수색을 위해 엄격한 경쟁을 거친 민간잠수부 70명이 침몰 현장에 도착해 해경 바지선에 접안하려 했으나 해경 측에서 욕설을 하자 철수한 사실도 있다. 또한 생존자 구출에 있어서 1분 1초가 아쉬운 시점에서 해경은 민간잠수부들을 고속단정 위에서 8시간 동안 대기시키는 등 수색작업 투입을 제한해 왔다고 전해졌다.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다이빙벨 몰래 투입이라니. 말이 됩니까", "해경 어서 입장 표명 하길", "국민들을 바보로 아나", "하루 빨리 투입해서 구조를 했어야지" 등 격분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