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세월호 구명벌·조끼 日서 취항 당시인 20년前 제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상' 판정 불구 제기능 못해
구명벌 4개, 침몰 13일만에 떠올라
구명벌 4개, 침몰 13일만에 떠올라
세월호와 함께 물속으로 가라앉았던 구명뗏목(구명벌)이 침몰 13일 만에 스스로 수면 위로 나왔다.
28일 새벽 구조팀은 사고 현장에서 물 위에 떠 있는 빨간색 물체 4개를 발견했다. 사고 당시 승객을 두고 먼저 탈출한 승무원들이 펼칠 생각도 하지 않은 구명뗏목이었다. 침몰 당시 해양경찰 대원이 2개를 직접 바다로 떨어뜨렸을 뿐이다. 그때 펼쳐지지 않았던 한 개가 뒤늦게 떠오른 것이다.
이날 구명뗏목을 발견한 구조원들은 “그때 펼쳐졌어야지”라며 한숨을 지었다.
구명뗏목은 배가 침몰해 일정 수압이 가해지면 자동으로 팽창하는 튜브식 탈출 보조기구로 물속 3~5m 지점에서 무조건 펼쳐지게 돼 있다. 뗏목 안에는 응급약품과 비상식량, 낚시 도구가 들어 있다. 전방 천막을 닫아 입구를 막으면 해수 유입도 차단된다. 겨울철을 제외하면 조난시 최대 10일까지 버틸 수 있도록 돼 있다.
배가 침몰할 때 승객 생명을 마지막으로 구할 수 있는 장비지만 세월호 구명뗏목은 무용지물이었다. 세월호가 40m 깊이까지 가라앉고 나서야 떠올랐다.
세월호 구명뗏목 대부분은 일본에서 배가 처음으로 취항한 1994년에 제작됐다. 20년이나 된 구조장비가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건 구명뗏목이 정해진 내구연한이 없고 정기 점검 과정에서 이상 있는 것만 교체하도록 돼 있어서다.
검사 주체인 한국선급은 지난 2월 안전점검에서 세월호 구명뗏목 모두에 ‘정상’ 판정을 내렸다. 하지만 이번 사고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한 구명뗏목은 44개 중 1개에 불과했다.
문제는 구명뗏목만이 아니었다. ‘MAY. 1994.’ 세월호 희생자들이 입었던 구명조끼에 적혀 있는 제조연월이다. 이 역시 20년이 지난 제품이었다. 오랜 시간이 지나 제 기능을 했는지 확인할 수 없다. 승객이 이를 착용했더라도 수면 위로 떠오르지 않았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부력재가 부식되거나 손상된 경우에는 제대로 떠오르지 않기 때문이다. 구명조끼 역시 안전점검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았다.
박재민 기자 induetime@hankyung.com
28일 새벽 구조팀은 사고 현장에서 물 위에 떠 있는 빨간색 물체 4개를 발견했다. 사고 당시 승객을 두고 먼저 탈출한 승무원들이 펼칠 생각도 하지 않은 구명뗏목이었다. 침몰 당시 해양경찰 대원이 2개를 직접 바다로 떨어뜨렸을 뿐이다. 그때 펼쳐지지 않았던 한 개가 뒤늦게 떠오른 것이다.
이날 구명뗏목을 발견한 구조원들은 “그때 펼쳐졌어야지”라며 한숨을 지었다.
구명뗏목은 배가 침몰해 일정 수압이 가해지면 자동으로 팽창하는 튜브식 탈출 보조기구로 물속 3~5m 지점에서 무조건 펼쳐지게 돼 있다. 뗏목 안에는 응급약품과 비상식량, 낚시 도구가 들어 있다. 전방 천막을 닫아 입구를 막으면 해수 유입도 차단된다. 겨울철을 제외하면 조난시 최대 10일까지 버틸 수 있도록 돼 있다.
배가 침몰할 때 승객 생명을 마지막으로 구할 수 있는 장비지만 세월호 구명뗏목은 무용지물이었다. 세월호가 40m 깊이까지 가라앉고 나서야 떠올랐다.
세월호 구명뗏목 대부분은 일본에서 배가 처음으로 취항한 1994년에 제작됐다. 20년이나 된 구조장비가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건 구명뗏목이 정해진 내구연한이 없고 정기 점검 과정에서 이상 있는 것만 교체하도록 돼 있어서다.
검사 주체인 한국선급은 지난 2월 안전점검에서 세월호 구명뗏목 모두에 ‘정상’ 판정을 내렸다. 하지만 이번 사고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한 구명뗏목은 44개 중 1개에 불과했다.
문제는 구명뗏목만이 아니었다. ‘MAY. 1994.’ 세월호 희생자들이 입었던 구명조끼에 적혀 있는 제조연월이다. 이 역시 20년이 지난 제품이었다. 오랜 시간이 지나 제 기능을 했는지 확인할 수 없다. 승객이 이를 착용했더라도 수면 위로 떠오르지 않았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부력재가 부식되거나 손상된 경우에는 제대로 떠오르지 않기 때문이다. 구명조끼 역시 안전점검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았다.
박재민 기자 induetim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