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韓→中 인재 대이동…日 기술인력 "삼성·LG 자리 있나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연구원은 중국行 잦아
한국 중국 일본 3국 간 ‘기술인력 전쟁’이 불붙었다. 정보기술(IT) 전자 등 주요 산업 분야에서 일본 기업의 쇠퇴, 중국 기업의 부상과 맞물려 ‘일본→한국→중국’으로의 기술인력 연쇄 이동이 본격화하고 있다.
삼성 전자계열사의 한 고위 관계자는 8일 “최근 일본 IT·전자 기업 연구원들의 이직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며 “최고급 인력은 아니지만 중급 기술인력들이 한국 기업으로 옮기려는 문의가 많다”고 말했다. LG전자 SK하이닉스 등에도 비슷한 문의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현상은 소니 파나소닉 샤프 등 일본 기업들이 한국 기업에 밀리면서 해고·퇴출된 일본 기술인력이 늘어남에 따라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등 일부 대기업은 지난해부터 일본에 인사팀을 보내 현지 경력직 연구원 채용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닛케이비즈니스는 지난해 7월 “2002년 이후 삼성으로 이직한 일본 기업 핵심 기술인력이 485명에 달하는 등 일본 전자기업 기술자들이 한국 중국 등으로 빠져나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한국으로의 인력 이동과 함께 최근엔 한국→중국으로의 이동도 잦다. 지난해 7월 한국 대기업 출신 연구원이 중국 선전의 LCD(액정표시장치) 제조업체 부사장으로 이직했다. ZTE 등 중국 휴대폰 제조업체들도 지난 수년간 한국 스마트폰 기술인력을 대거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술인력 연쇄 이동이 늘면서 한국의 기간산업 경쟁력이 약화될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인력 이동으로 한·중·일 3국 간 기술 격차가 빠르게 좁혀질 것이란 점에서다.
이태명/남윤선 기자 chihiro@hankyung.com
삼성 전자계열사의 한 고위 관계자는 8일 “최근 일본 IT·전자 기업 연구원들의 이직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며 “최고급 인력은 아니지만 중급 기술인력들이 한국 기업으로 옮기려는 문의가 많다”고 말했다. LG전자 SK하이닉스 등에도 비슷한 문의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현상은 소니 파나소닉 샤프 등 일본 기업들이 한국 기업에 밀리면서 해고·퇴출된 일본 기술인력이 늘어남에 따라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등 일부 대기업은 지난해부터 일본에 인사팀을 보내 현지 경력직 연구원 채용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닛케이비즈니스는 지난해 7월 “2002년 이후 삼성으로 이직한 일본 기업 핵심 기술인력이 485명에 달하는 등 일본 전자기업 기술자들이 한국 중국 등으로 빠져나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한국으로의 인력 이동과 함께 최근엔 한국→중국으로의 이동도 잦다. 지난해 7월 한국 대기업 출신 연구원이 중국 선전의 LCD(액정표시장치) 제조업체 부사장으로 이직했다. ZTE 등 중국 휴대폰 제조업체들도 지난 수년간 한국 스마트폰 기술인력을 대거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술인력 연쇄 이동이 늘면서 한국의 기간산업 경쟁력이 약화될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인력 이동으로 한·중·일 3국 간 기술 격차가 빠르게 좁혀질 것이란 점에서다.
이태명/남윤선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