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정민 기자 ] 연인에게 장미를 선물하는 로즈데이(14일)와 만 19세가 되는 청년을 위한 성년의 날(19일)이 코앞이다. 여자친구 혹은 자녀에게 줄 선물을 고민하고 있다면 장미 꽃다발 대신 풍성한 장미향을 담은 향수가 어떨까. 장미꽃의 향기를 가득 담은 향수를 모아봤다.
13일 화장품 업계에 따르면 패션디자이너 브랜드들은 고유의 브랜드 성격을 반영한 다양한 장미 향수를 내놨다.
끌로에의 '로즈 드 끌로에 오 드 뚜왈렛'. 사진:코티코리아 제공
끌로에가 지난해 선보인 '로즈 드 끌로에 오 드 뚜왈렛'은 섬세한 장미 향기에 초점을 맞췄다. 2008년부터 끌로에가 꾸준하게 선보인 장미 향수의 재해석판이다. 다마시나 장미 에센스를 중심으로 부드럽고 신선한 장미 향기 구현에 공을 들였다.
돌체앤가바나는 '로즈 더 원 오 드 퍼퓸'으로 만다린 오렌지와 어울린 달콤한 장미향을 선보였다.
국내 패션 브랜드 제이에스티나는 달짝지근한 무화과 향을 가미한 장미향수 '쥬 데 플뢰르'를 판매하고 있다. 후리지아와 피오니향으로 시작해 로즈 마카롱 향기로 이어진다.
아닉구딸의 '로즈 스플랑디드 오 드 퍼퓸'.사진:아닉구딸 제공
마크앤제이콥스의 향수 '오 롤라 오 드 퍼퓸'은 장미향은 아니지만 뚜껑의 꽃 장식이 장미를 연상시킨다. 상큼한 꽃과 과일이 어우러진 향기가 젊은 여성들에게 잘 어울린다.
화장품 브랜드 록시땅의 장미향수는 4가지 장미와 장미 농축액을 더한 '로즈 에 렌 오 드 뚜왈렛'이다. 베르가못과 블랙커런트 향이 장미향과 함께 어우러진다.
니치향수 브랜드들도 다양한 장미향수를 선보이고 있다. 니치향수는 전문 조향사의 특징이 보다 잘 드러나고, 소수의 고객을 지향하는 프리미엄 '틈새 향수'군이다.
아모레퍼시픽 소속 프랑스 브랜드 아닉구딸은 상쾌하고 부드러운 장미향을 '로즈 스플랑디드 오 드 퍼퓸'에 담았다. 조향사 까밀구딸이 프랑스 프로방스 별장의 정원에서 회상한 추억을 목련, 배, 바닐라 향기와 함께 장미 향수로 풀어냈다.
펜할리곤스의 '엘리자베단 로즈 오 드 뚜왈렛'. 사진:펜할리곤스 제공
영국 향수 브랜드 펜할리곤스는 '엘리자베단 로즈 오 드 뚜왈렛'으로 풍성하고 탐스러운 장미가 핀 정원을 표현했다. 제라늄과 샌달우드 향이 장미의 섬세함을 부각시킨다.
가정의 달과 각종 기념일 관련 수요로 불황 속에서도 향수 매출은 증가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조말론, 딥티크, 크리드, 아쿠아디파르마 등 프리미엄 향수 매출 증가세가 돋보인다.
13일 신세계백화점에 따르면 프리미엄 향수 매출은 2010년부터 매년 30~60%씩 성장했다. 지난해에는 212.2% 급증했다. 올해도 프리미엄 향수 매출은 5월까지(월간 기준) 40%가 넘는 매출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다.
국세청이 세무 플랫폼을 통한 부당·과다 환급 관행을 조사하면 자비스앤빌런즈, 토스인컴 등 운영업체들의 실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16일 업계에 따르면 자비스앤빌런즈는 지난해 상반기 매출 777억원을 기록했다. 2023년 한 해 매출(507억원)을 반년 만에 넘어섰다. 이 회사는 2020년 삼쩜삼을 출시한 이후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2020년 35억원에 불과한 매출이 2021년 311억원, 2022년 496억원 등으로 꾸준히 늘었다. 누적 가입자도 2022년 4월 1000만 명, 2023년 5월 1600만 명, 2024년 5월 2100만 명으로 급증했다.하지만 이번 국세청 점검 결과 다수 이용자가 부담 환급액을 토해내고 가산세까지 물게 된다면 고객이 이탈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그런 데다 국세청이 다음달 수수료 없는 소득세 환급 서비스를 시작한다. 삼쩜삼이 돈을 받고 제공하는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겠다는 의미다. 자비스앤빌런즈 관계자는 국세청 환급 서비스와 관련해 “삼쩜삼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간편하게 환급할 수 있는 등 편의성이 높아 이탈이 많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국세청 조사가 자비스앤빌런즈가 계획 중인 기업공개(IPO)에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다. 이 회사는 2023년 NH투자증권을 상장 주관사로 선정하고 사업모델 기반 특례 상장에 나섰지만 상장 예비 심사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 서비스의 계속성에 의문이 제기된다는 이유에서였다. 앞서 한국세무사회는 2021년 삼쩜삼 서비스가 ‘무자격 세무 대리’에 해당한다는 이유 등으로 김범섭 자비스앤빌런즈 대표를 고발했지만 검찰은 2023년 김 대표를 무혐의 처리했다.김익환 기자
한국 대기업의 임금 수준이 유럽연합(EU) 평균과 일본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16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한·일·EU 기업 규모별 임금수준 국제 비교’에 따르면 한국 대기업 연 임금총액은 구매력평가(PPP) 환율 기준(2022년) 8만7130달러로, EU 20개국 평균 8만536달러보다 8.2% 높았다. 일본 5만6987달러에 비해서는 52.9% 많다. 경총은 EU가 최근 발표한 2022년 자료를 비교해 이번 보고서를 내놨다.순위로 보면 한국은 조사 대상 22개국 중 5위에 올랐다. 룩셈부르크 독일 프랑스 아일랜드의 뒤를 이었다. 오스트리아(6위), 핀란드(7위), 네덜란드(8위)보다는 순위가 높았다.2022년 시장 환율을 기준으로 해도 한국(5만4656달러)은 EU 평균(5만2639달러)과 일본(4만1075달러)에 비해 높았다. 다만 순위는 7위로 떨어진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대기업 임금 수준도 한국이 156.9%로 EU 평균(134.7%)과 일본(120.8%)보다 높았다.국내 중소기업 임금총액(PPP 기준)은 5만317달러로 일본 중소기업 4만2022달러에 비해 19.7% 많았고, EU 중소기업 평균 5만2398달러보다는 4.0% 적었다. 분석 대상 22개국 중 10위다.신정은 기자
국내 전자상거래(e커머스) 플랫폼의 성장이 빠르게 둔화하는 가운데 C(중국)커머스 기업들의 국내 거래액은 급증하고 있다.16일 대체 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에 따르면 중국계 쇼핑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알리바바그룹)의 1월 결제액은 1154억원으로 전년 같은 달 대비 43.7% 증가했다. 같은 기간 ‘테무’(판둬둬)는 514억원으로 145.1% 늘었다. ‘쉬인’은 102억원으로 127.5% 증가했다.알리익스프레스는 최고 100% 이상 늘어난 1~2년 전과 비교하면 다소 주춤하지만 여전히 국내 플랫폼 업체들보다 성장세가 가파르다. 월간 결제금액이 가장 큰 때는 광군제 기념 연중 최대 쇼핑 행사를 벌인 작년 11월로 1996억원을 기록했다.e커머스업계에선 중국 커머스 업체들의 국내 시장 공략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한다. 테무는 지난해 말부터 인사(HR), 총무, 홍보·마케팅, 물류 등 핵심 직군의 한국인 직원 채용 절차를 밟고 있다. 한국 내 통합 물류시스템 구축도 준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알리익스프레스는 2019년 처음 한국어 판매사이트를 열어 영업을 시작한 이후 2023년 8월 알리익스프레스 코리아 사무소를 개설했다. 이후 한국 직원 채용 등 현지화 절차를 밟고 있다.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지난달 테무 앱 월간 활성 이용자(MAU)는 823만 명으로 쿠팡(3302만 명), 알리익스프레스(912만 명)에 이어 세 번째로 많았다.이태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