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텃밭인 호남에서 공천에 불만을 품고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하거나 무소속 후보간 단일화를 추진하는 경우가 잇따르자 '안방 사수'에 비상이 걸렸다.

당 지도부의 '개혁 공천' 의지가 공천 과정의 파열음에 묻혀 퇴색한 마당에 선거 결과까지 부진하면 공천 작업을 주도한 김한길·안철수 두 공동대표의 리더십이 상당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어서다.

무엇보다 당은 윤장현 광주시장 후보 전략공천에 반발해 탈당한 강운태·이용섭 후보의 단일화 추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각종 여론조사 결과 윤 후보 지지율이 상승세이긴 하나 강·이 두 후보가 단일화에 성공하게 돼 양자 대결구도가 될 경우 선거승리를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윤 후보는 전국 17곳 광역단체장 중 유일하게 살아남은 안 대표 측 인사여서 '측근 챙기기'라는 비난을 감수하고 전략공천을 감행했던 안 대표로선 광주시장 선거 결과에 따라 향후 정치적 입지가 크게 좌우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전남·북에서도 공천 과정에 불만을 품은 후보들이 잇따라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면서 당 후보들의 당선에 경고등이 켜진 것으로 새정치연합은 판단하고 있다.

전남에서는 공천에서 배제된 김일태 영암군수가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고, 고흥·함평군수 경선에 나섰던 송귀근·노두근 예비후보도 '공정성 훼손'을 주장하며 무소속 출마 입장을 밝혔다.

우여곡절 끝에 여수시장 최종 경선 후보로 선정됐던 김동채 예비후보도 결국 당을 탈당, 무소속을 선택했다.

전북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완주군수를 지낸 임정엽 전주시장 예비후보를 비롯해 3선에 도전하는 송영선 진안군수 후보, 황인홍 무주군수 후보 등이 잇따라 당을 탈당해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다.

3선 도전인 홍낙표 무주군수도 당 후보 등록을 하지 않고 일찌감치 무소속 출마를 결정했다.

이들 호남에서는 당 경선에 참여했다가 부적격자로 판정받아 탈락한 후보들이 무소속 연대까지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당 지도부는 일단 '호남 민심 달래기'에 초점을 맞춰 당 후보 선거 지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김·안 두 공동대표는 오는 17일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에 맞춰 1박2일 일정으로 광주를 방문할 계획이다.

유권자와 당원들을 만나 '광주의 변화를 위해 전략공천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는 배경을 진정성 있게 설명하고 윤 후보에 대한 지지를 호소할 것으로 보인다.

중앙당 선거대책위의 민병두 공보단장은 15일 TBS 라디오 '열린아침 송정애입니다'에 나와 "두 대표가 광주에서 '섭섭한 게 있다면 나무라 주시고 애정은 광주를 위해 평생 헌신하신 윤 후보에게 던져달라'고 간절히 호소하면 광주 시민의 마음이 변할 것이라 보고 있다"고 기대했다.

광주가 지역구인 강기정 의원도 "광주 선거는 안 대표 개인의 책임이나 진퇴 문제를 넘어 통합을 완수해 2017년 정권교체까지 쭉 가느냐 못가느냐의 갈림길"이라며 "두 대표가 지역민에게 호소한다면 당원들이 충분히 이해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동선대위원장이나 상임고문 등 당의 중량감 있는 인사들도 윤 후보 지원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지난 13일 열린 윤 후보 선거사무소 개소식에 정동영·정세균 당 공동선대위원장과 천정배 전 최고위원 등이 참석해 지원사격을 했고, 권노갑·임채정 등 상임고문단도 이르면 다음 주부터 윤 후보의 지원 유세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새정치연합은 김영춘 후보와 무소속 오거돈 전 해양수산부장관간 부산시장 야권후보 단일화협상도 주시하고 있다.

당내에선 제1야당으로서 김 후보가 완주해야 한다는 의견과 여권에 대한 견제를 위해 단일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송진원 기자 s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