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 배제하고 수사 방침, 사고 원인규명도 계속
선사, 안전 검사, 과적, 증축 업체 관계자 곧 기소


특별취재팀 = 승객들을 버리고 먼저 탈출한 세월호 승무원들이 살인 혐의로 기소되면서 총체적인 부실 대응으로 공분을 사고있는 해경에 대한 수사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검경 합동수사본부는 15일 세월호 승무원 15명 가운데 이준석(69) 선장, 1·2등 항해사, 기관장 등 4명에게 살인 혐의 등을 적용, 구속 기소했다.

나머지 선원들도 유기치사, 유기치상, 수난구호법 위반 혐의 등이 적용돼 구속 기소됐다.

수사본부는 사고의 직·간접적인 책임이 있는 승무원과 선사 등을 상대로 사고 원인을 규명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특히 공개된 구조 영상 등을 통해 해경의 부실한 대응을 확인하고 사고 원인 조사가 일정 부분 마무리되면 해경에 대한 수사에도 본격적으로 나선다는 방침이다.

또 다른 수사주체인 해경을 수사하는 데 미온적인 태도를 보인다는 지적이 일자 검찰은 해경을 배제하고 수사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상 징후를 감지하지 못하고 '골든타임'을 허비한 경위와 선내 진입을 하지 않아 인명피해를 최소화하지 않은 책임을 따지는 것이 수사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조사 결과에 따라 직무태만과 직무유기뿐만 아니라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 적용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수사본부는 사고의 원인인 복원성 문제를 무시하거나 방치한 선사인 청해진해운에 대한 수사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김한식(72) 대표를 비롯한 선사 관계자 5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 등으로 기소할 예정이다.

수사본부는 이들을 상대로 사고 당시 승무원들에게 탈출 등 부적절한 지시를 했는지, 복원성 문제를 알고 있었는데도 무시하고 매각하려 한 경위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세월호 안전 점검, 화물 적재·고박, 증축 업체를 상대로 한 수사도 확대되고 있다.

수사본부는 세월호 구명장비 점검 업체인 한국해양안전설비 대표와 이사, 직원을 이미 구속했다.

이들은 세월호에 설치된 구명벌과 슈트(비상탈출용 미끄럼틀) 검사를 이틀 만에 졸속으로 했고 안전 점검 보고서의 주요 항목도 '양호'로 허위 기재한 것으로 드러났다.

수사본부는 부실 고박(결박)의 책임을 물어 우련통운 직원 2명도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하고 있다.

이들은 화물 잠금장치를 제대로 연결하지 않아 세월호 복원력 상실의 원인을 제공한 혐의를 받고 있다.

수사본부는 세월호 안전 검사, 증축을 맡은 업체를 상대로 조사를 벌여 문제가 확인되면 사법처리할 방침이다.

(목포=연합뉴스) cbebop@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