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단 제작, 김동현 연출로 지난 9일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막이 오른 ‘템페스트’의 미덕은 마지막 장면에서 발현된다. 셰익스피어가 인생의 황혼기를 맞아 남긴 은퇴작에서 얘기하려 한 연극의 허구성과 삶의 무상함이 어떤 ‘템페스트’ 공연보다 강렬하고 깊이 있게 다가왔다.
다만 이 순간을 맞이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을 견뎌야 한다. 최근 1년 새 공연된 데클린 도넬란 연출이나 오태석 연출의 ‘템페스트’로 기대치가 높아진 탓일까. 프로스페로가 마법으로 창조해내는 ‘환상의 세계’의 형상화가 썩 만족스럽지 못했다. 태풍으로 배가 난파돼 바다에 빠진 알론조 일행을 정령들이 하나하나 붙잡고 춤을 추듯 구해내는 첫 장면 빼고는 별 감흥이 일지 않았다. 프로스페로의 딸 미랜더, 괴물 캘리번 등 주요 캐릭터들에 대한 참신한 해석도 찾아볼 수 없었다. ‘템페스트’에 기대하는 희극적·환타지적 재미를 별반 만들어내지 못했다.
하지만 마지막 장면이 주는 묵직한 감동과 여운만으로도 볼 만한 가치가 있는 무대다. 극 중 다소 경직돼 보였던 프로스페로 역의 오영수(70)는 짧은 암전 동안 다른 사람이 된 듯했다. 쓸쓸하고 고독한 울림이었다. 극작가·배우·연출가로서 20여년간 극장에서 온갖 환상과 마법을 만들어내다 은퇴를 준비하는 셰익스피어의 모습이 보였다. 오는 25일까지, 2만~5만원.
송태형 기자 toughl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