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왼쪽)와 김무성 공동선대위원장이 19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제2차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악수하고 있다. 가운데는 서청원 공동선대위원장. 연합뉴스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왼쪽)와 김무성 공동선대위원장이 19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제2차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악수하고 있다. 가운데는 서청원 공동선대위원장.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이 19일 세월호 참사와 관련, 대국민 사과와 국가개조 계획을 담은 담화를 발표하면서 이제 관심은 내각과 청와대 등에 대한 인적 쇄신 조치로 모아진다. 박 대통령은 이날 담화에서 개각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하지만 지난 16일 희생자 유가족과의 면담에서 “개각 등 후속 조치를 면밀하게 세우고 있다”고 밝힌 만큼 조만간 인적 개편이 단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후속 개각은 박 대통령이 아랍에미리트(UAE) 방문에서 돌아온 뒤에 있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책임총리 걸맞은 강한 인물

민 대변인의 얘기로 보면 박 대통령은 UAE에서 돌아온 직후 후임 총리 인선을 발표할 가능성이 높다. 후임 총리로는 책임총리제를 구현하며 내각을 진두지휘하는 강단 있는 인사가 적임이라는 얘기가 많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박 대통령이 담화에서 총리실에 국가재난 컨트롤 타워와 정부의 인사·조직 등 막강한 권한을 몰아준 것은 차기 총리도 여기에 걸맞은 추진력 있는 인사를 기용하겠다는 신호를 준 것 아니겠느냐”고 했다.

여권에서는 관료 출신보다는 정치인이나 과거 대선 당시 캠프에서 활동한 인사들의 중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치고 있다.

[朴대통령 대국민담화 / 인적 쇄신] UAE 방문 후 개각…힘세진 총리에 안대희·한광옥 등 거론
캠프에서 정치쇄신위원장을 맡으며 개혁 성향 이미지가 강한 안대희 전 대법관이 적임자로 거론되는 가운데 대선 캠프에 이어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대통합위원회를 총괄하는 한광옥 전 민주당 상임고문, 대선 당시 경제민주화 공약을 주도한 김종인 전 행복추진위원장 등도 후보로 오르내린다.

일각에서는 40대 총리 기용 같은 파격 인사가 나올 수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중폭 이상 개각 불가피

후임 총리 인선에 이은 후속 개각은 중폭 이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여당 내에서도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 발표 후 정국 수습 타개책으로 내각 총사퇴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은 상황이다.

친박근혜계 좌장으로 통하는 서청원 의원은 이날 “대통령의 운신 폭을 넓혀주기 위해서는 국무위원들이 사의를 표명하는 게 맞다”며 “경질할 사람은 경질하고 또다시 일할 분들에게는 기회를 드리는 게 순리”라고 말했다.

세월호 참사 과정에 책임이 거론되는 장관들은 교체를 피해가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여권의 한 고위 인사는 “해수부 장관이나 안행부 장관은 바뀐 지 얼마 안돼 본인들은 억울할지 모르지만 참사의 가장 직접적인 책임 당사자들이기 때문에 교체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사고 수습 대처 과정에서 부적절한 언행으로 물의를 빚은 교육부 장관도 경질 우선 순위다.

경제팀은 이번 참사에 직접적인 책임은 없지만, 인적 쇄신 요구 목소리가 큰 만큼 일부 교체 대상에 오를 수 있다. 부총리가 바뀐다면 후임으로는 당내에서 역할이 줄어든 최경환 의원이 가장 적임자라는 얘기가 많다.

개각 규모가 커질 경우 대체로 무난하다는 평가를 받았던 외교안보팀까지 진용이 새로 짜일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개각과 맞물려 청와대 참모진의 교체도 불가피한 상황이다.

정종태/김대훈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