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당국은 물론,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도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의 접속이 차단될 예정이다. 6일 교육부는 "딥시크의 개인정보보호 등 안전성이 확인될 때까지 본부의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기로 결정했고, 각급학교와 교육부 소속기관에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도록 안내했다"고 밝혔다. 각급학교에는 유치원과 초·중·고교가 모두 해당한다. 단 대학과 대학원은 학술 연구·교육 목적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보안에 유의해 활용하도록 했다.앞서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농림축산식품부·문화체육관광부, 중소벤처기업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경찰청 등 다수 정부 부처에서 딥시크 접속을 전면 차단한 바 있다.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인구 감소 여파에 올해 초등학교 입학생이 한명도 없는 학교가 경남도에서만 26곳인 것으로 알려졌다. 6일 경남도교육청에 따르면 입학생이 1명도 없는 곳은 도내 18개 시·군 중 13개 시·군이고, 여기에는 창원과 김해 등 인구 50만명이 넘는 대도시도 포함됐다.지역별로는 통영·고성 각 4개교, 합천·하동 각 3개교, 창원·밀양·창녕 각 2개교, 진주·김해·거제·양산·의령·산청 각 1개교다.입학생이 1명인 학교도 33곳으로, 창원과 함양을 제외한 나머지 16개 시군에 해당한다.올해 초등학교 예비 소집 결과 입학생은 2만701명으로 이는 지난해와 비교해 2740명이 감소했고, 입학생이 없는 학교는 1곳이 더 늘었다.도내 초등학교 1학년 학급 당 학생 수가 23명인 것으로 고려하면 약 119개 학급이 사라진 것이다.초등학교 신입생 수는 계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2021년 3만185명, 2022년에 3만명대가 무너져 2만9858명으로 집계됐고, 2023년 2만7154명, 2024년 2만3411명, 올해 2만701명이다.향후 4년간 신입생은 더 감소할 전망이다.내년에 2만명이 붕괴해 1만9811명, 2027년 1만8177명, 2028년 1만7338명, 2029년 1만6337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증언하자 윤석열 대통령 측이 강력하게 반발하는 모습이 탄핵심판 내내 이어졌다. 윤 대통령은 직접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과 곽 전 사령관이 '탄핵 공작'의 시작이라며 직접 비판하는가 하면, 대통령 측 변호인은 언성을 높이며 곽 전 사령관을 몰아세우기도 했다.○ "국회의원 끌어내라" 증언에...尹측 "대통령 지시 씹었나"6일 오후 서울 재동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6차 변론 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한 곽 전 사령관은 국회의원을 끌어내란 지시를 받았다고 강조했다. 이날 곽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이 데리고 나오라고 한 사람이 국회의원이 맞냐"는 국회 측 질의에 "정확히 맞다"며 "의결정족수 문제로 '인원' 끌어내라 한 부분을 당연히 국회의원이라고 이해했다"고 했다.이후 윤 대통령 측 송진호 변호사는 곽 전 사령관의 증언 신빙성을 의심하며 압박했다. 송 변호사는 "검찰 조서에는 '사람을 끌어내라는 것으로 이해했다'고 진술했다"며 "(지시가) 확실한 게 아니라는 것"이라 했다. 곽 전 사령관이 이를 부인하자 송 변호사는 "당시 요원들 15명밖에 본청 안에 들어가지 않았는데 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는 없던 것 아니냐"며 언성을 높였다.송 변호사는 또 "(지시를 받았을 때) 대통령에게 '요원이 15명 밖에 없으니 이행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라고 설명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지시를 씹어버렸나"고 큰 소리로 지적하기도 했다. 곽 전 사령관은 "그런 용어를 쓰시는 것이 듣기 불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