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는 수많은 기금이 존재한다. 서민들의 ‘계’에서부터 크게는 430조원을 굴리는 국민연금까지 다양하다. 공제회만 해도 교직원, 군인, 지방공무원, 경찰 등 직능 단체별로 조직돼 있다.

정부는 재정을 투입한 국가 기금과 연금에 대해 2000년대 초반부터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공적자금이기 때문에 운용 효율성을 따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문제는 민간 기금이다. 대학기금만 해도 11조원 규모다. 미국 하버드대 한 곳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하지만, 대학의 재정 자립이라는 중대한 문제와 결부돼 있는 기금이다. 또 한국 자본시장 활성화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한국경제신문이 교육부 등과 공동으로 ‘제1회 한국 기금·자산운용 대상’을 신설한 것은 이 같은 배경에서다. 정부기금 평가위원으로 활동한 전문가의 ‘노하우’를 민간 기금에 적용할 수 있는 장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국내 최대 펀드평가기관인 에프앤가이드가 수익률 등을 기초로 한 정량 평가 자료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운용 시스템과 위험관리 체계가 작동하고 있는지 등을 종합 진단했다.

한완선 명지대 경영학과 교수(심사위원장)는 “수조원의 자금을 굴리는 대형 기금조차 평가 초반에는 운용체계가 낙후돼 있었지만 그 후 10여년에 걸쳐 매년 철저한 평가를 진행한 결과 적어도 시스템 면에선 선진국 수준에 이르렀다”며 “이런 평가 시스템을 민간 부문에 적용한 한경 기금·자산운용 대상의 제정으로 앞으로 각종 민간 기금의 운용 효율성이 물론 투명성이 크게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 그동안 민간 기금은 평가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다. 졸업생들의 기부금이 주요 재원인 대학기금은 주무 부처인 교육부도 건드릴 수 없는 영역이다. 공제회 역시 정부 재정이 투입돼 있거나 투입될 수 있는 기관임에도 기금 평가와 관련해 ‘무풍지대’로 남아 있다. 보험사 심사위원인 박흥찬 금융감독원 보험감독국장은 “한국경제신문이 마련한 이번 상으로 보험사 간 건전한 경쟁이 촉진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