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각지의 일본군 위안부 기림비 설립 움직임에 반발하고 있는 일본 정부가 미국 정치권을 상대로 군대 위안부와 독도, 동해 병기 문제와 관련해 총력 로비를 전개하고 있는 사실이 확인됐다.

특히 로비 대상에는 미국 의회 내에서 영향력이 큰 하원의장과 하원 외교위원장이 포함된데다 로비 목적에 지방정치 사안인 버지니아주 동해병기 교과서 채택문제까지 들어있어 일본의 대미 로비가 얼마나 강도높고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실감케 하고 있다.

27일(현지시간) 미국 법무부의 FARA(외국로비정보공개) 자료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초까지 주미 일본대사관을 통해 워싱턴 대형 로펌인 '헥트 스펜서 앤드 어소시어츠', '호건 로벨스'와 용역계약을 맺고 미국 의회와 행정부, 싱크탱크를 상대로 로비를 전개했다.

계약 내용은 미국 하원의원과 참모들을 상대로 일반적인 일본 정부의 입장과 외교관계를 대변하는 차원을 넘어 (독도 영유권 문제와 관련된)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군대 위안부'와 관련한 2차 세계대전 관련 사항, 버지니아주의 동해병기 교과서 채택 법안과 관련해 로비를 펴는 것이었다.

헥트 스펜서는 지난해 9월부터 올해 2월까지 6개월간 존 베이너 하원의장과 에드 로이스(공화·캘리포니아) 하원 외교위원장, 켄 캘버트 하원의원 등을, 호건 로벨스는 같은 기간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 당시 백악관 참모를 지낸 다나 로라바처(공화·캘리포니아) 하원의원, 하원 외교위 간사인 엘리엣 엥겔(민주·뉴욕) 하원의원,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보좌관 출신인 마이클 그린 CSIS(전략국제문제연구소) 연구원 등을 상대로 면담 또는 이메일 접촉을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