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봉구 기자 ] 외부인사 응모를 배제하고 후보를 학내 교수로만 제한한 대학 총장선거가 뒷말을 낳고 있다.

30일 동덕여대에 따르면 학교법인 동덕여학단 이사회는 이달 16일 발표한 ‘총장 선임방법 공고’에서 총장 응모자격을 “동덕여대에서 조교수 이상으로 15년 이상 재직 경력이 있으며 현재 동덕여대 재직 전임교수 25명 이상의 추천을 받은 분”이라고 명시했다.

다음달 5일까지 응모하는 총장 후보군을 학내 교수로 한정한 것이다. 대다수 대학이 개혁 성향 외부인사가 총장에 응모할 수 있도록 길을 터주는 추세인 가운데 거꾸로 문을 닫아걸었다.

올 들어 총장을 뽑는 대학들의 경우 서울대는 외부인사 응모를 허용하고, 이화여대는 여성으로 제한했던 총장 자격을 푸는 등 문턱을 낮췄다. 김영래 현 동덕여대 총장 역시 아주대 교수를 지낸 외부인사 출신이다. 이번 총장선거가 오히려 퇴보한 셈이다.

동덕여대 교수협의회와 직원노조(전국대학노조 동덕여대지부)는 최근 성명을 내고 “총장 후보군에서 외부인사를 배제하고 학내 교수로만 국한시킨 점을 납득하기 어렵다” 며 “덕망과 능력을 갖춘 인사를 총장으로 초빙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후보군을 축소시킨 점은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사회가 이미 총장 후보를 내정해 추대하려는 의도 하에 형식적 절차를 진행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 며 “학교 구성원 대표들은 이번 총장 선임방법 공고 내용에 대해 거부한다. 이 같은 결정을 내린 이유와 근거가 무엇인지 이사장에게 질문한다”고 덧붙였다.

교수협의회와 직원노조는 총장 후보를 굳이 학내 교수로 제한한 것은 2011년 사학분쟁조정위원회 결정에 따라 복귀한 구(舊)재단 측 인사를 총장으로 밀어주기 위한 ‘사전포석’으로 보고 있다.

이에 대해 동덕여대 관계자는 “총장선임 방법을 정하는 것은 이사회의 고유 권한”이라고만 답했다.

한경닷컴 김봉구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