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정부 각 부처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공공서비스를 가격 비교 사이트처럼 손쉽게 비교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된다.

안전행정부는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1만8000개의 전자정부 시스템을 분석해 서비스 대상·유형·데이터 등이 비슷한 시스템을 연계할 계획이라고 1일 발표했다. 안행부는 연내 각 부처가 개별적으로 운영하는 온라인 공공서비스에 정부포털 사이트(korea.go.kr)에서 일괄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인터넷 쇼핑몰처럼 국민들이 각 기관의 비슷한 정책 서비스를 비교해 마음에 드는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안행부에 따르면 가계금융 지원에 관한 정보의 경우 복지정보개발원의 ‘복지로’, 자산관리공사의 ‘희망모아’ 등 11개 기관에서 19개 시스템을 통해 각각 제공하고 있다. 취업 및 취업교육 관련 정보는 고용노동부의 ‘워크넷’과 기획재정부의 ‘잡알리오’ 등 34개 기관에서 44개의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각 정부 기관에서 비슷한 시스템들을 운영하다보니 국민들이 공공서비스를 활용하는 데 불편이 컸다는 게 안행부의 설명이다. 안행부는 “그동안 공공서비스 구축이 국민 관점보다는 개별 부처 관점에서만 추진된 측면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안행부는 비슷한 공공서비스를 정부포털 사이트에서 일괄적으로 비교하는 시스템이 만들어지면 각 부처 간 경쟁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황규철 안행부 정보자원정책과장은 “정책서비스 제공 기관 간의 선의의 경쟁을 유도하고 이용 실적이 저조하거나 불편한 서비스는 경쟁을 통해 개선토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안행부는 이 같은 공공서비스 연계 방안에 대해 3일부터 30일까지 안행부와 정부포털 홈페이지에서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