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연 당선자 "건전한 자사고 유지" 한발 물러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6.4 지방선거에서 서울교육감으로 선출된 조희연 당선자는 기존 자사고 전면 폐지 입장에서 한발 물러섰다. 일반고 교육을 황폐화시키지 않는 선에서 재지정 평가를 통과할 경우 유지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조 당선자는 5일 선거사무소에서 가진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자사고 폐지 정책'의 출발점은 자사고를 죽이자는 게 아니라 입시명문·특권학교로 전락하고 돈에 의해 진입 장벽이 쳐진, 입시만을 중시하는 자사고가 공교육 전체를 황폐화시킨다는 데 있다"고 지적했다.
조 당선자는 이명박 정부에서부터 추진돼온 자율형 사립고 폐지를 취임 후 처리해야 할 주요 정책으로 여전히 꼽았다. 그는 "이달에 자사고 재지정 평가가 진행되는 만큼 신임 교육감으로서 문 교육감이 이끄는 교육청과 협의해 진행하면 좋겠다"는 바람을 내비쳤다.
자신이 내건 공약의 큰 기조는 유지하되 정책 추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우려를 충분히 수렴하겠다는 뜻이다.
친환경 무상급식에 대해서도 "되돌릴 수 없는 흐름"이라며 "방사능 공포로부터 안전한 급식, 유전자변형식품으로부터 안전한 급식으로까지 확대해가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조 당선자는 또 "초등학교 차원에서의 혁신교육이 중·고교로 가면 입시전쟁 때문에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만큼 (초등학교에서 대학에 이르는) '혁신학교 벨트화'를 생각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혁신초등학교를 나와 혁신 중·고교에 진학한 학생에게 대학입시 선발 과정에서 우선권을 주도록 입시제도가 바뀌고 대안대학도 생겨나면 대학입시에 얽매이지 않는 창의적 교육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구상이다.
진보성향 곽노현 전 교육감이 추진한 혁신학교 확대를 공약으로 내건 조 당선인은 "창의인성·감성교육을 질곡시키는 현 입시 시스템을 전 국민이 함께하는 공론의 장에 던져봤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39.1%의 득표율로 당선된 그는 보수후보 3명을 지지한 나머지 유권자 60%에 대해 "저를 선택하지 않은 분들의 우려와 불안감을 응시하면서 더 균형 있는 정책을 펼치려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평소 노무현 전 대통령의 진정성과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려 깊은 실행전략이 결합하면 좋겠다고 생각해왔다"며 "노무현·김대중 리더십의 결합이 필요할 것 같다"고 밝혔다.
조 당선인은 "선거가 유권자의 표를 통해 민심의 방향을 판가름해주는 측면이 있는 만큼 공약의 큰 기조는 유지할 생각"이라며 "역사교과서나 친일·친독재 교과서 문제는 현 정부가 무리하게 추진한 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전국 17곳 중 13곳에서 진보 교육감이 탄생한 데 대해서는 "세월호 참사 이후 한국 사회와 교육이 많이 달라져야 한다는 교훈을 던져준 것"이라며 "진보 교육감들이 학부모들의 그런 요구를 얼마나 잘 끌어안고 대안적인 교육 패러다임과 교육개혁의 상을 만들어내느냐가 관건"이라고 풀이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조 당선자는 5일 선거사무소에서 가진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자사고 폐지 정책'의 출발점은 자사고를 죽이자는 게 아니라 입시명문·특권학교로 전락하고 돈에 의해 진입 장벽이 쳐진, 입시만을 중시하는 자사고가 공교육 전체를 황폐화시킨다는 데 있다"고 지적했다.
조 당선자는 이명박 정부에서부터 추진돼온 자율형 사립고 폐지를 취임 후 처리해야 할 주요 정책으로 여전히 꼽았다. 그는 "이달에 자사고 재지정 평가가 진행되는 만큼 신임 교육감으로서 문 교육감이 이끄는 교육청과 협의해 진행하면 좋겠다"는 바람을 내비쳤다.
자신이 내건 공약의 큰 기조는 유지하되 정책 추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우려를 충분히 수렴하겠다는 뜻이다.
친환경 무상급식에 대해서도 "되돌릴 수 없는 흐름"이라며 "방사능 공포로부터 안전한 급식, 유전자변형식품으로부터 안전한 급식으로까지 확대해가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조 당선자는 또 "초등학교 차원에서의 혁신교육이 중·고교로 가면 입시전쟁 때문에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만큼 (초등학교에서 대학에 이르는) '혁신학교 벨트화'를 생각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혁신초등학교를 나와 혁신 중·고교에 진학한 학생에게 대학입시 선발 과정에서 우선권을 주도록 입시제도가 바뀌고 대안대학도 생겨나면 대학입시에 얽매이지 않는 창의적 교육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구상이다.
진보성향 곽노현 전 교육감이 추진한 혁신학교 확대를 공약으로 내건 조 당선인은 "창의인성·감성교육을 질곡시키는 현 입시 시스템을 전 국민이 함께하는 공론의 장에 던져봤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39.1%의 득표율로 당선된 그는 보수후보 3명을 지지한 나머지 유권자 60%에 대해 "저를 선택하지 않은 분들의 우려와 불안감을 응시하면서 더 균형 있는 정책을 펼치려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평소 노무현 전 대통령의 진정성과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려 깊은 실행전략이 결합하면 좋겠다고 생각해왔다"며 "노무현·김대중 리더십의 결합이 필요할 것 같다"고 밝혔다.
조 당선인은 "선거가 유권자의 표를 통해 민심의 방향을 판가름해주는 측면이 있는 만큼 공약의 큰 기조는 유지할 생각"이라며 "역사교과서나 친일·친독재 교과서 문제는 현 정부가 무리하게 추진한 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전국 17곳 중 13곳에서 진보 교육감이 탄생한 데 대해서는 "세월호 참사 이후 한국 사회와 교육이 많이 달라져야 한다는 교훈을 던져준 것"이라며 "진보 교육감들이 학부모들의 그런 요구를 얼마나 잘 끌어안고 대안적인 교육 패러다임과 교육개혁의 상을 만들어내느냐가 관건"이라고 풀이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