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신들의 실언이나 망동 때문에 술을 금하기도 했다. 세조 때 영의정 정인지는 만취해 임금을 ‘너’라고 불렀다가 귀양을 갔다. 그러나 영조의 손자인 정조는 술에 관대했다. 어쩌다 금주령을 내려도 할아버지처럼 처벌하지는 않았다. 백성들을 괴롭히기만 하고 효과도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1920~33년 미국에서도 온갖 금주 해프닝이 벌어졌다. 술 제조와 수출입을 금지하자 밀주와 밀수가 판을 쳤다. 그 바람에 알 카포네 등 갱단이 생겼다. 로버트 드니로가 알 카포네 역할을 맡은 영화 ‘언터처블’도 그 시절 얘기다. ‘고상한 실험(noble experiment)’으로 불렸던 금주법은 뒤에 ‘허무맹랑한 발상’을 빗대는 말이 됐다.
옛 소련도 금주 조치로 보드카 값을 올리고 생산을 줄였다. 그랬더니 알코올 중독이 더 늘었다. 술꾼들이 더 해로운 대용품을 마셨던 것이다. 이란 역시 1979년 혁명 이후 술을 금했지만, 지금 음주 인구는 100만명을 넘는다. 그 중 30%가 여성이다. 사실 집에서 몰래 마시는 것까지 어떻게 막을 수 있겠는가.
우리도 마찬가지다. 세월호 사건이 터지자마자 공직 사회에 금주령이 내려졌다. 외식은 하지 말고 구내식당을 이용하라는 지시가 뒤따랐다. 청사 주변 식당가에는 감찰반이 파견됐다. 어느 장관은 국장급 이상 전 간부에게 “집에서도 술을 마시지 말라”고 했다. 그렇게 두 달 가까이 지났다. 된서리를 맞은 식당들의 아우성이 터져나왔다. 문 닫는 곳도 생겼다.
놀란 정부가 부랴부랴 복무지침을 바꿨다. 부총리는 “구내식당을 한 달에 한 번 닫고, 주 1회 이상 청사 인근 음식점을 이용하게 하겠다”며 공무원 복지포인트 조기사용까지 독려하고 나섰다. 한 편의 코미디다. 언제부터 술 마시지 말고, 언제부터는 마셔도 되며, 어디서 무엇을 더 사라는 지시가 아직도 가능하다니….
이젠 “무슨 술을 몇 잔씩 마셔야 하는지도 정해야 하지 않나” “안방 잠자리까지 규제하려 들겠네” 등 우스갯소리까지 나온다. 하긴 늘 금지령만 있고 해제령은 없는 골프에 비하면 그나마 낫다고 해야 할지.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