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채원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부사장 "기업 지배구조 이슈가 내년까지 증시 주도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Money Plus - 고수에게 듣는다
기업들 발빠르게 움직일 것…지주사 전환 추진 기업에 주목
최근 중소형주 수익률 높았지만 이제는 대형주가 훨씬 더 유망
펀드 고를 땐 장기 성과 봐야
기업들 발빠르게 움직일 것…지주사 전환 추진 기업에 주목
최근 중소형주 수익률 높았지만 이제는 대형주가 훨씬 더 유망
펀드 고를 땐 장기 성과 봐야
“내년 말까지 기업 지배구조 이슈가 증시를 지배할 겁니다. 지배구조 이슈를 명확하게 정리하기 위해 지주사 전환을 발표하는 기업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채원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부사장(50·사진)은 명쾌했다. ‘가치주 전도사’인 이 부사장도 기업 지배구조 이슈의 중요성에 흔쾌히 동의했다.
요즘 유행하는 가치주펀드를 맨 처음 도입한 사람이 바로 이 부사장이다. 1998년 12월 ‘동원밸류 이채원 1호’를 만든 지 1년도 안 돼 수익률 129%를 달성하고 스타덤에 올랐다.
인터뷰를 위해 지난달 말과 이달 초 서울 여의도 한국밸류운용 본사에서 이 부사장을 두 번 만났다. 약간 초췌해 보였다. 1조5000억원 규모이던 운용자산이 2년 만에 7조원대로 불어나면서 고민할 게 많아졌다고 했다.
▶삼성SDS 등이 상장 계획을 밝힌 뒤 삼성그룹주가 일제히 급등했는데.
“그동안 눈치만 보던 기업들이 앞으로 지주사 전환 쪽으로 발빠르게 움직일 것이다. 지주사를 설립할 때 주식 양도차익 과세를 유예해주는 특례기간이 내년 말이면 끝나기 때문이다. 기업들이 지주사로 전환하면 주가는 20~30% 이상 오르는 게 당연하다. 지분율이 높지 않은 기업 오너들이 주주친화 경영을 본격화할 수 있어서다. 경영 투명성이 높아지면서 최대주주와 일반주주 간 이해관계가 같아진다는 의미다.”
▶지주사 전환 시점을 예상할 수 있는 방법은.
“각 기업이 언제 지주사로 전환할지 알기 어렵다. 다만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부담 때문에 주가가 가장 많이 빠졌을 때 전격 발표할 가능성이 높다. 삼성과 현대차그룹만 지주사로 전환해도 코스피지수는 지금보다 10% 이상 오를 것이다.”
▶올 하반기 지수를 예측한다면.
“지수를 전망하는 건 별로 의미가 없다. 지수는 항상 기업 실적과 연동돼 있다. 철저한 종속변수다. 작년 초 상장기업의 이익 총액이 100조원에 달할 것이란 예상이 나오자 주가가 크게 뛰었다. 그런데 뚜껑을 열어보니 68조원에 그쳤다. 주가도 다시 지지부진해졌다. 올해는 기업 실적이 80조~90조원은 될 것 같다. 시장 분위기가 작년보다는 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중소형주 위주로 많이 올랐다.
“작년엔 4분기를 빼놓고 중소형주가 주도하는 시장이었다. 올 1분기에도 대형주보다 중소형주가 훨씬 높은 수익률을 나타냈다. 1998년 이후 대형주가 중소형주에 비해 갖고 있는 프리미엄의 평균값을 내보니 95.5%였다. 대형주 가치가 항상 두 배 정도 높았다는 의미다. 그런데 지금은 대형주의 프리미엄이 중소형주 대비 50% 정도에 불과하다. 앞으로 대형주가 훨씬 유망할 것으로 보는 근거다. 우리도 요즘 패션 유통 건설 은행 등 대형 경기민감주 위주로 펀드에 많이 담고 있다.”
▶직접 운용하는 가치주펀드의 운용 전략도 바뀌고 있나.
“기본적인 투자 전략에는 변함이 없다. 투자의 기본은 성장성과 자산가치, 수익가치 등 3가지다. 자산가치와 수익가치는 주가수익비율(PER)이나 주가순자산비율(PBR) 등으로 평가할 수 있다. 문제는 성장성을 어떻게 따지느냐다. 지배구조의 투명성이나 경영자의 자질을 얘기하지만 추상적이고 객관적이지 않다. 그래서 기업의 성장성에 대한 비중을 딱 20~30%로 제한한다. 핵심은 수익가치인데, 특히 과거와 현재 수익이 어떤지를 많이 살펴본다. PER이 7~8배 이하이고 배당이 많고 재무구조가 탄탄한 회사를 좋아한다.”
▶개별 종목에 투자하는 기간은.
“투자기간을 따로 정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굳이 얘기하자면 적정 주가에 도달할 때까지다. 한 기업의 주가가 한 달 만에 내재가치에 도달하면 바로 팔아치우기도 한다. 한 종목을 8~10년 동안 들고 있는 경우도 있다. 다만 지금까지 투자한 종목의 평균을 내보니 종목당 대략 3년 이상 갖고 있는 걸로 나왔다. 그래서 작년보다 올해가 더 두렵다. 작년엔 그렇게 사랑스럽던 종목들이 단기간에 급등하면서 매력을 잃었기 때문이다. 이럴 땐 저평가주로 열심히 갈아타기를 해놓고 기다려야 마음이 편하다.”
▶미국 영국 등 외국과 달리 유독 직접투자자들이 많은 것 같다.
“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여유자금으로 투자하면 종목이나 한도의 제한도 없고, 펀드와 달리 꼭 환매할 필요도 없어 장기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반드시 전제가 있다. 하루에 3시간 이상 주식을 공부할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자기 패를 보지 않고 포커를 치는 것과 똑같다. 또 자신이 잘 이해하는 산업이나 기업에만 주목해야 한다.”
▶좋은 펀드를 고르는 요령이 있다면.
“가장 중요한 점은 장기 성과를 봐야 한다는 것이다. 그 펀드매니저의 철학이 유지돼왔는지, 또 그 철학이 앞으로도 이어질 것인지 살펴봐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역사가 오래된 펀드일수록 좋은 펀드일 가능성이 높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
이채원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부사장(50·사진)은 명쾌했다. ‘가치주 전도사’인 이 부사장도 기업 지배구조 이슈의 중요성에 흔쾌히 동의했다.
요즘 유행하는 가치주펀드를 맨 처음 도입한 사람이 바로 이 부사장이다. 1998년 12월 ‘동원밸류 이채원 1호’를 만든 지 1년도 안 돼 수익률 129%를 달성하고 스타덤에 올랐다.
인터뷰를 위해 지난달 말과 이달 초 서울 여의도 한국밸류운용 본사에서 이 부사장을 두 번 만났다. 약간 초췌해 보였다. 1조5000억원 규모이던 운용자산이 2년 만에 7조원대로 불어나면서 고민할 게 많아졌다고 했다.
▶삼성SDS 등이 상장 계획을 밝힌 뒤 삼성그룹주가 일제히 급등했는데.
“그동안 눈치만 보던 기업들이 앞으로 지주사 전환 쪽으로 발빠르게 움직일 것이다. 지주사를 설립할 때 주식 양도차익 과세를 유예해주는 특례기간이 내년 말이면 끝나기 때문이다. 기업들이 지주사로 전환하면 주가는 20~30% 이상 오르는 게 당연하다. 지분율이 높지 않은 기업 오너들이 주주친화 경영을 본격화할 수 있어서다. 경영 투명성이 높아지면서 최대주주와 일반주주 간 이해관계가 같아진다는 의미다.”
▶지주사 전환 시점을 예상할 수 있는 방법은.
“각 기업이 언제 지주사로 전환할지 알기 어렵다. 다만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부담 때문에 주가가 가장 많이 빠졌을 때 전격 발표할 가능성이 높다. 삼성과 현대차그룹만 지주사로 전환해도 코스피지수는 지금보다 10% 이상 오를 것이다.”
▶올 하반기 지수를 예측한다면.
“지수를 전망하는 건 별로 의미가 없다. 지수는 항상 기업 실적과 연동돼 있다. 철저한 종속변수다. 작년 초 상장기업의 이익 총액이 100조원에 달할 것이란 예상이 나오자 주가가 크게 뛰었다. 그런데 뚜껑을 열어보니 68조원에 그쳤다. 주가도 다시 지지부진해졌다. 올해는 기업 실적이 80조~90조원은 될 것 같다. 시장 분위기가 작년보다는 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중소형주 위주로 많이 올랐다.
“작년엔 4분기를 빼놓고 중소형주가 주도하는 시장이었다. 올 1분기에도 대형주보다 중소형주가 훨씬 높은 수익률을 나타냈다. 1998년 이후 대형주가 중소형주에 비해 갖고 있는 프리미엄의 평균값을 내보니 95.5%였다. 대형주 가치가 항상 두 배 정도 높았다는 의미다. 그런데 지금은 대형주의 프리미엄이 중소형주 대비 50% 정도에 불과하다. 앞으로 대형주가 훨씬 유망할 것으로 보는 근거다. 우리도 요즘 패션 유통 건설 은행 등 대형 경기민감주 위주로 펀드에 많이 담고 있다.”
▶직접 운용하는 가치주펀드의 운용 전략도 바뀌고 있나.
“기본적인 투자 전략에는 변함이 없다. 투자의 기본은 성장성과 자산가치, 수익가치 등 3가지다. 자산가치와 수익가치는 주가수익비율(PER)이나 주가순자산비율(PBR) 등으로 평가할 수 있다. 문제는 성장성을 어떻게 따지느냐다. 지배구조의 투명성이나 경영자의 자질을 얘기하지만 추상적이고 객관적이지 않다. 그래서 기업의 성장성에 대한 비중을 딱 20~30%로 제한한다. 핵심은 수익가치인데, 특히 과거와 현재 수익이 어떤지를 많이 살펴본다. PER이 7~8배 이하이고 배당이 많고 재무구조가 탄탄한 회사를 좋아한다.”
▶개별 종목에 투자하는 기간은.
“투자기간을 따로 정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굳이 얘기하자면 적정 주가에 도달할 때까지다. 한 기업의 주가가 한 달 만에 내재가치에 도달하면 바로 팔아치우기도 한다. 한 종목을 8~10년 동안 들고 있는 경우도 있다. 다만 지금까지 투자한 종목의 평균을 내보니 종목당 대략 3년 이상 갖고 있는 걸로 나왔다. 그래서 작년보다 올해가 더 두렵다. 작년엔 그렇게 사랑스럽던 종목들이 단기간에 급등하면서 매력을 잃었기 때문이다. 이럴 땐 저평가주로 열심히 갈아타기를 해놓고 기다려야 마음이 편하다.”
▶미국 영국 등 외국과 달리 유독 직접투자자들이 많은 것 같다.
“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여유자금으로 투자하면 종목이나 한도의 제한도 없고, 펀드와 달리 꼭 환매할 필요도 없어 장기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반드시 전제가 있다. 하루에 3시간 이상 주식을 공부할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자기 패를 보지 않고 포커를 치는 것과 똑같다. 또 자신이 잘 이해하는 산업이나 기업에만 주목해야 한다.”
▶좋은 펀드를 고르는 요령이 있다면.
“가장 중요한 점은 장기 성과를 봐야 한다는 것이다. 그 펀드매니저의 철학이 유지돼왔는지, 또 그 철학이 앞으로도 이어질 것인지 살펴봐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역사가 오래된 펀드일수록 좋은 펀드일 가능성이 높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