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유 재고, 11년만에 최다…우유 생산늘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따뜻한 날씨로 우유 생산이 증가하면서 유가공 업체의 분유 재고가 넘쳐나고 있다.
8일 낙농진흥회에 따르면 지난 3월과 4월 전국 총 원유생산량은 각각 19만4326t과 19만2261t이었다. 지난해 3월의 18만2950t과 4월의 18만2249t보다 각각 6.2%, 5.5% 증가했다.
3월 생산량은 2008년 5월(19만3천186t) 이후 6년만에 최고 수준이었다.
유가공업체가 계약 농가에서 가져온 원유를 제품으로 만들고 남은 부분을 말려 보관하는 분유 재고량은 11년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4월 분유 재고(월말 분유재고를 원유로 환산한 양)는 18만5856t으로 2003년 6월(17만9506t) 이후 가장 많았다. 작년 4월(12만928t)과 비교하면 53.7% 늘었다.
한 유가공업체 관계자는 "올들어 기온이 예년보다 높아 젖소 집유량이 많아진 데다가 최근 사료 값이 내린 영향이 맞물려 원유 생산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업체 입장에서는 농가가 생산하는 원유를 다 사들여야 해서 수요가 크게 늘지 않으면 원유 잉여량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우유가 남아돌아도 업체들은 우윳값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도입한 원유가격 연동제로 원유 생산량 변동에 따른 가격 조정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원유가격 연동제는 원유 가격 협상 때마다 낙농가와 우유업계 간 갈등이 반복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우유생산비 증감분과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반영해 매년 8월 원유 가격을 정하는 제도다.
작년 8월 제도 도입과 함께 당시 ℓ당 834원이었던 원유 기본가격이 ℓ당 940원으로 12.7% 오르면서 우유 소매가격도 줄줄이 올라 소비자들의 불만도 거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흰 우유의 중국 수출 길도 일시적으로 막혔다.
지난달부터 중국 정부가 유제품 수출업체등록제를 시행하면서 수출업체 등록을 신청한 국내 우유업체 48곳 중 6곳이 등록보류 판정을 받았다.
이에 유가공업체들은 남아도는 원유를 어떻게 활용할지 대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
우유 수급 불균형이 심각해지면 최악에는 '원유 파동'에 이를 수도 있다는 위기의식도 커지고 있다.
또 오는 8월 원유 가격을 정할 때 사료 값 인하분 반영 여부 등 기준 설정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8일 낙농진흥회에 따르면 지난 3월과 4월 전국 총 원유생산량은 각각 19만4326t과 19만2261t이었다. 지난해 3월의 18만2950t과 4월의 18만2249t보다 각각 6.2%, 5.5% 증가했다.
3월 생산량은 2008년 5월(19만3천186t) 이후 6년만에 최고 수준이었다.
유가공업체가 계약 농가에서 가져온 원유를 제품으로 만들고 남은 부분을 말려 보관하는 분유 재고량은 11년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4월 분유 재고(월말 분유재고를 원유로 환산한 양)는 18만5856t으로 2003년 6월(17만9506t) 이후 가장 많았다. 작년 4월(12만928t)과 비교하면 53.7% 늘었다.
한 유가공업체 관계자는 "올들어 기온이 예년보다 높아 젖소 집유량이 많아진 데다가 최근 사료 값이 내린 영향이 맞물려 원유 생산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업체 입장에서는 농가가 생산하는 원유를 다 사들여야 해서 수요가 크게 늘지 않으면 원유 잉여량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우유가 남아돌아도 업체들은 우윳값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도입한 원유가격 연동제로 원유 생산량 변동에 따른 가격 조정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원유가격 연동제는 원유 가격 협상 때마다 낙농가와 우유업계 간 갈등이 반복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우유생산비 증감분과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반영해 매년 8월 원유 가격을 정하는 제도다.
작년 8월 제도 도입과 함께 당시 ℓ당 834원이었던 원유 기본가격이 ℓ당 940원으로 12.7% 오르면서 우유 소매가격도 줄줄이 올라 소비자들의 불만도 거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흰 우유의 중국 수출 길도 일시적으로 막혔다.
지난달부터 중국 정부가 유제품 수출업체등록제를 시행하면서 수출업체 등록을 신청한 국내 우유업체 48곳 중 6곳이 등록보류 판정을 받았다.
이에 유가공업체들은 남아도는 원유를 어떻게 활용할지 대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
우유 수급 불균형이 심각해지면 최악에는 '원유 파동'에 이를 수도 있다는 위기의식도 커지고 있다.
또 오는 8월 원유 가격을 정할 때 사료 값 인하분 반영 여부 등 기준 설정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