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미래·고용부 업무협약 > 서남수 교육부(앞줄 왼쪽부터),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방하남 고용노동부 장관 등이 10일 업무협약을 맺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 교육·미래·고용부 업무협약 > 서남수 교육부(앞줄 왼쪽부터),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방하남 고용노동부 장관 등이 10일 업무협약을 맺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평균 60점 이상만 받으면 손에 쥘 수 있는 검정형 국가기술자격증이 수년 내 사라질 전망이다. 현행 기술자격증 제도가 산업현장과 동떨어져 있다는 지적에 따라 정부가 산업계 주도의 신(新)기술자격 제도 마련에 나섰기 때문이다.

고용노동부, 교육부, 미래창조과학부는 10일 경기 판교 한국소프트웨어기술진흥협회에서 소프트웨어(SW) 업계, 교육기관, 유관기관 등과 함께 ‘SW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협약에는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한국소프트웨어기술진흥협회 등 사업주단체와 삼성SDS, LG CNS 등 11개 대·중견기업,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대학,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참여했다.

산업계와 정부는 협약을 통해 학벌이나 스펙이 아닌 능력 중심으로 SW 분야 인력을 채용할 수 있도록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한 새로운 자격 제도를 연말까지 개발하기로 했다. 새 자격 제도는 기존 국가기술자격이 현장과 괴리된 단순 암기 실력을 평가해 직무능력을 정확히 보여주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산업계가 주도적으로 출제·평가하는 방식으로 개선된다.

현재 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는 국가기술자격은 477개 종목으로 연인원 300만명 이상이 응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취득한 자격증이 실제 업무수행 능력으로 연결되지 않음에 따라 민간기업은 물론 자격시험을 주관하는 인력공단마저 신입사원 채용 때 자격증 소지 여부를 묻지 않는 실정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시험에 합격하고도 자격증을 찾아가지 않는 수험생이 연간 3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나영돈 고용부 직업능력정책관은 “그동안 상당수 국가기술자격이 산업현장에서 신호기능을 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SW 분야를 시작으로 앞으로는 산업계가 직접 NCS를 기준으로 현장 요구에 맞는 새로운 자격을 만들고 운영하는 방식으로 바꿔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