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기춘 실장 거취는… >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앞줄 왼쪽부터), 박흥렬 경호실장, 김관진 국방부 장관 겸 국가안보실장 등이 10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앞서 이야기하고 있다. 강은구 기자 egkang@hankyung.com
< 김기춘 실장 거취는… >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앞줄 왼쪽부터), 박흥렬 경호실장, 김관진 국방부 장관 겸 국가안보실장 등이 10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앞서 이야기하고 있다. 강은구 기자 egkang@hankyung.com
박근혜 대통령이 10일 후임 총리 인선을 끝냄에 따라 이르면 이번주 내각과 청와대 개편을 동시에 단행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에는 다음주 예정된 박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순방(16~21일) 이후가 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내각 및 청와대 참모진 개편을 위한 인선 작업이 이미 한 달 전부터 준비해 가닥이 잡힌 만큼 굳이 늦출 필요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이럴 경우 새로운 국무위원들에 대한 제청은 정홍원 현 총리가 하게 되지만 2기 내각을 이끌 문창극 신임 총리 후보자와 제청권 행사 전 협의를 거치도록 하는 ‘절충형’ 방법을 택할 것으로 보인다.

개각폭은 중폭 이상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인적쇄신 차원에서 개각의 가장 관심사인 경제팀 교체는 불가피하다는 게 청와대와 여권 내부의 기류다.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국토교통부 장관이 교체 대상으로 유력하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교체 가능성이 반반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금융위원장은 개인정보 유출 등 홍역을 치렀지만 예상외로 유임될 것이란 관측이 있다. 공정거래위원장도 유임 가능성이 거론된다.

후임 경제부총리와 관련, 총리 후보에 언론인이 지명된 만큼 정치인 출신 최경환 새누리당 의원의 입각이 더욱 유력해졌다는 게 여권 내 기류다. 사회부총리로는 이장무 전 서울대 총장이 거명된다.

안전행정부와 교육부 등 사회 부처 장관은 조직 개편으로 부처의 역할이 바뀜에 따라 새로운 장관 인선이 불가피하다. 해수부 장관은 유임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가 정치권에서 흘러나온다. 외교팀은 유임 쪽으로 가닥이 잡히고 있다.

청와대 참모진 개편의 경우 내부에서는 정무·민정·경제·교육문화 수석이 각기 다른 이유로 우선 교체 대상에 올라있다는 얘기가 있다. 이 가운데 대통령 신임이 두터운 경제수석은 입각 가능성이 높지만 유임될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무수석 역시 외교관을 기용한 박 대통령의 새로운 시도가 성공적이지 못했다는 점에서 교체 대상이지만, 박준우 수석의 개인 역량과 무관하다는 점에서 유임될 수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민정수석은 안대희 전 총리 후보자 검증 실패 책임을 지고 물러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