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루메드, 3D 프린팅 인공관절 치료기술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셀루메드는 엑스레이(X-ray) 영상 기반의 3D 프린팅 환자맞춤형 인공무릎관절 치료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기술은 기존 CT나 MRI 등의 영상파일을 기반으로 제작되던 3D프린팅을 엑스레이 영상 만으로 제작이 가능하게 해 환자 맞춤형 무릎인공관절 시술기구 제작 과정을 단순화시키고, 환자의 비용부담도 경감시킬 수 있게 했다는 설명이다.
인공무릎관절 시술기구란 환자의 무릎관절과 흡사한 모형으로 제작돼 인공관절 시술을 도와주는 일련의 장치다. 수술시 무릎뼈 절단의 정확한 위치와 방향을 구현하는 데 도움을 준다.
현재 국내에는 매년 7만건 이상의 인공관절 시술이 시행되고 있으며, 이 중 80% 이상은 다국적 기업의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셀루메드는 앞으로 엑스레이 영상 기반 환자맞춤형 인공관절 시술기구를 국내 의료진에게 무상 공급해 1500억원 규모의 국내 인공관절 시장에서 20%까지 점유율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또 미국 및 아시아 시장에 3D 프린팅 기술을 수출해 8조원 규모의 세계 인공관절 시장 내 5% 진입을 목표하고 있다.
심영복 대표는 "이번 기술을 통해 국내 인공관절 시장에서 국산화 제품의 수요를 늘릴 뿐 아니라 향후 해외 판매 등으로 활용 범위를 더욱 넓힐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
이번 기술은 기존 CT나 MRI 등의 영상파일을 기반으로 제작되던 3D프린팅을 엑스레이 영상 만으로 제작이 가능하게 해 환자 맞춤형 무릎인공관절 시술기구 제작 과정을 단순화시키고, 환자의 비용부담도 경감시킬 수 있게 했다는 설명이다.
인공무릎관절 시술기구란 환자의 무릎관절과 흡사한 모형으로 제작돼 인공관절 시술을 도와주는 일련의 장치다. 수술시 무릎뼈 절단의 정확한 위치와 방향을 구현하는 데 도움을 준다.
현재 국내에는 매년 7만건 이상의 인공관절 시술이 시행되고 있으며, 이 중 80% 이상은 다국적 기업의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셀루메드는 앞으로 엑스레이 영상 기반 환자맞춤형 인공관절 시술기구를 국내 의료진에게 무상 공급해 1500억원 규모의 국내 인공관절 시장에서 20%까지 점유율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또 미국 및 아시아 시장에 3D 프린팅 기술을 수출해 8조원 규모의 세계 인공관절 시장 내 5% 진입을 목표하고 있다.
심영복 대표는 "이번 기술을 통해 국내 인공관절 시장에서 국산화 제품의 수요를 늘릴 뿐 아니라 향후 해외 판매 등으로 활용 범위를 더욱 넓힐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