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젤은 16일 콘텔라컨소시엄(유엔젤, 콘텔라 등)을 통해 미래창조과학부의 '5G 서비스 상용화 개발(개방제어 기반 분산구조 모바일코어네트워크 기술개발)'에 세계 최초로 나선다고 밝혔다.

이동통신사업자의 LTE 핵심망에서 운영되고 있는 EPC(Evolved Packet Core) 관련 장비는 현재 대부분 외산 업체와 일부 국내 대기업이 개발해 이동통신사업자에 납품되고 있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향후 모바일 트래픽 폭증, 사물인터넷(IoT)에 따른 다양한 트래픽 처리, 기존 장비의 고비용 구조개선, 5G 코어 네트워크 기술의 선도라는 시장의 필요성을 인지해 이번 과제를 기획했다는 설명이다.

이번 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통신사업자는 늘어나는 데이터 트래픽과 사물인터넷(IoT) 활성화에 따른 새로운 서비스를 개방제어 분산구조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유엔젤이 개발하는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기능은 통신서비스가 실시간으로 데이터 트래픽 자원에 대한 관리 및 실시간 과금을 할 수 있게 해주는 데이터 서비스 통합 과금 솔루션이다.

회사 관계자는 "유에젤은 이번 솔루션을 인도네시아 통신사업자인 텔콤과 몽골 유니텔에 공급한 실적을 가지고 있다"며 "이번 과제에서 EPC 내에 있는 P-G/W의 PCC 기능 개발을 담당하게 됨에 따라, 미래부가 추진 중인 '5G 모바일코어네트워크' 기술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게 됐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