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25개 자사고 교장단 "자사고 폐지 요구땐 공동대응하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 시내 25개 자율형사립고가 향후 신임 교육감이 자사고를 폐지하라고 요구할 경우 공동 대응하기로 합의했다. 자사고 측은 지정이 취소되는 학교가 나올 경우 법적 대응도 검토키로 했다.
서울 시내 25개 자사고 교장단은 19일 서울 정동의 한 식당에서 비공개 모임을 하고 조희연 서울교육감 당선자의 자사고 폐지 공약 등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했다. 회의에 참석한 한 교장은 “교육청의 자사고 정책이 어떻게 변하는지 지켜보고 이에 공동 대응하기로 의견을 모았다”며 “대응에 필요한 기구 구성 등 구체적인 단계까지 나가지는 못했다”고 설명했다.
다른 교장은 “자사고 지정 취소 사유인 △회계부정 △부정입학 △부당한 교육과정 운영(이중시간표 등) 등 5가지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데도 지정 취소할 경우 법적 대응을 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자사고 측은 조 당선자의 자사고 폐지 공약 때문에 교육 현장의 혼란이 가중될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현재 서울지역 25개 자사고 중 재지정을 위한 평가를 받는 학교는 올해 14곳이다. 올해 자사고 입시원서 접수가 11월 중순부터이기 때문에 관련법에 따라 3개월 전인 8월 중순까지는 입시요강이 확정돼야 한다. 하지만 진보 교육감이 당선되면서 평가 일정이 연기되는 등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임기훈 기자 shagger@hankyung.com
서울 시내 25개 자사고 교장단은 19일 서울 정동의 한 식당에서 비공개 모임을 하고 조희연 서울교육감 당선자의 자사고 폐지 공약 등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했다. 회의에 참석한 한 교장은 “교육청의 자사고 정책이 어떻게 변하는지 지켜보고 이에 공동 대응하기로 의견을 모았다”며 “대응에 필요한 기구 구성 등 구체적인 단계까지 나가지는 못했다”고 설명했다.
다른 교장은 “자사고 지정 취소 사유인 △회계부정 △부정입학 △부당한 교육과정 운영(이중시간표 등) 등 5가지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데도 지정 취소할 경우 법적 대응을 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자사고 측은 조 당선자의 자사고 폐지 공약 때문에 교육 현장의 혼란이 가중될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현재 서울지역 25개 자사고 중 재지정을 위한 평가를 받는 학교는 올해 14곳이다. 올해 자사고 입시원서 접수가 11월 중순부터이기 때문에 관련법에 따라 3개월 전인 8월 중순까지는 입시요강이 확정돼야 한다. 하지만 진보 교육감이 당선되면서 평가 일정이 연기되는 등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임기훈 기자 shagg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