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통 겪는 개혁] 예년보다 엄격했던 공공기관 경영평가 '후폭풍'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업기술시험원 "행정소송"…울산항만公 "세월호로 불이익"
'성과급 제로' D·E등급 기관
"복리후생 줄여야 하는데 노조와 협상 어떻게 하나"
'성과급 제로' D·E등급 기관
"복리후생 줄여야 하는데 노조와 협상 어떻게 하나"
정부가 지난 18일 발표한 ‘2013년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에 대한 후폭풍이 거세다. “억울하다”는 하소연에서 “행정소송도 불사하겠다”는 반발에 이르기까지 기대치를 밑도는 등급 판정을 받은 공공기관들 사이에 납득할 수 없다는 기류가 확산되고 있다.
A등급이 전년 16개에서 2개로 줄어들고 최하위권인 D, E 등급은 16개에서 무려 30개로 늘어나는 등 예년에 비해 등급이 추락한 기관이 크게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20일 정부와 주요 기관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은 정부의 이번 평가 결과를 인정할 수 없다며 행정소송과 감사원 감사청구를 검토하고 있다. 국내외 기업 제품의 안전성, 성능 등을 시험평가해 인증하는 KTL은 2012년에 이어 지난해 경영평가에서도 D등급을 받아 기관장 해임 건의 통보를 받았다.
정부는 KTL 경영평가 보고서에서 △비정규직 인건비 증가 및 전반적인 경영실적 하락 △지나치게 방대한 업무 수행 등을 문제로 지적했다. 이로 인해 KTL은 비정규직 인건비가 포함된 경영효율 항목 중 재무예산에서 4.99점(7점 만점)을 받았다. 전년(6.83점)보다 2점 가까이 떨어진 수치다.
KTL 관계자는 “업무량이 10% 이상 늘어 정규직을 채용하려고 했으나 (정부가) 정원 증원을 허용해주지 않았다”며 “어쩔 수 없이 비정규직을 늘리다 보니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인데 이를 우리 탓으로 돌린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공공기관 평가에 참여한 한 교수는 “모든 공기업이 같은 기준으로 경영평가를 받은 상황”이라며 “KTL은 비정규직만의 문제가 아니라 경영실적 등 전체적인 점수가 낮다”고 말했다.
이번에 ‘성과급 제한 등급(D, E)’을 받은 다른 공공기관들의 반발도 상당하다. 2012년도 평가에서 B등급을 받았다가 이번에 C를 받은 한 대형 공기업 관계자는 “방만경영이 문제가 된 기업들은 심사위원들이 사전에 최대 등급을 ‘C등급’으로 정해 놓았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며 “평가의 공정성이 의심된다”고 억울해했다.
D등급을 받은 한국동서발전 관계자는 “(공공기관 정상화의 일환으로) 학자금 지원 중단 등 복리후생 감축 협상을 해야 하는데 이번에 성과급을 한푼도 받을 수 없게 돼 노조의 반발이 예상된다”고 하소연했다.
E 등급을 받은 한국가스공사 관계자도 “성과급 제한으로 노사협상시 사측에서 내놓을 수 있는 협상카드가 없어졌다”고 토로했다. 기관장 해임건의 등급인 E등급을 받은 울산항만공사 관계자는 “세월호 침몰사고로 선박 안전분야 평가를 강화했다고 하지만 항만공사 업무는 세월호 사건과는 큰 관련이 없는데 불이익을 받은 것 같다”고 평가 방식에 문제를 제기했다.
이번 공공기관 평가 과정에서 일부 평가 교수들이 정부 방침에 반발해 사퇴한 것도 정부 개입 등 각종 억측을 낳게 하고 있다. 지난 3월 평가단 내 노사관리팀에 있던 박모 교수 등 8명은 ‘노사관리팀’을 ‘노사복리후생팀’이라고 팀명을 바꾸려는 정부 방침에 반발해 사퇴했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
A등급이 전년 16개에서 2개로 줄어들고 최하위권인 D, E 등급은 16개에서 무려 30개로 늘어나는 등 예년에 비해 등급이 추락한 기관이 크게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20일 정부와 주요 기관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은 정부의 이번 평가 결과를 인정할 수 없다며 행정소송과 감사원 감사청구를 검토하고 있다. 국내외 기업 제품의 안전성, 성능 등을 시험평가해 인증하는 KTL은 2012년에 이어 지난해 경영평가에서도 D등급을 받아 기관장 해임 건의 통보를 받았다.
정부는 KTL 경영평가 보고서에서 △비정규직 인건비 증가 및 전반적인 경영실적 하락 △지나치게 방대한 업무 수행 등을 문제로 지적했다. 이로 인해 KTL은 비정규직 인건비가 포함된 경영효율 항목 중 재무예산에서 4.99점(7점 만점)을 받았다. 전년(6.83점)보다 2점 가까이 떨어진 수치다.
KTL 관계자는 “업무량이 10% 이상 늘어 정규직을 채용하려고 했으나 (정부가) 정원 증원을 허용해주지 않았다”며 “어쩔 수 없이 비정규직을 늘리다 보니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인데 이를 우리 탓으로 돌린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공공기관 평가에 참여한 한 교수는 “모든 공기업이 같은 기준으로 경영평가를 받은 상황”이라며 “KTL은 비정규직만의 문제가 아니라 경영실적 등 전체적인 점수가 낮다”고 말했다.
이번에 ‘성과급 제한 등급(D, E)’을 받은 다른 공공기관들의 반발도 상당하다. 2012년도 평가에서 B등급을 받았다가 이번에 C를 받은 한 대형 공기업 관계자는 “방만경영이 문제가 된 기업들은 심사위원들이 사전에 최대 등급을 ‘C등급’으로 정해 놓았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며 “평가의 공정성이 의심된다”고 억울해했다.
D등급을 받은 한국동서발전 관계자는 “(공공기관 정상화의 일환으로) 학자금 지원 중단 등 복리후생 감축 협상을 해야 하는데 이번에 성과급을 한푼도 받을 수 없게 돼 노조의 반발이 예상된다”고 하소연했다.
E 등급을 받은 한국가스공사 관계자도 “성과급 제한으로 노사협상시 사측에서 내놓을 수 있는 협상카드가 없어졌다”고 토로했다. 기관장 해임건의 등급인 E등급을 받은 울산항만공사 관계자는 “세월호 침몰사고로 선박 안전분야 평가를 강화했다고 하지만 항만공사 업무는 세월호 사건과는 큰 관련이 없는데 불이익을 받은 것 같다”고 평가 방식에 문제를 제기했다.
이번 공공기관 평가 과정에서 일부 평가 교수들이 정부 방침에 반발해 사퇴한 것도 정부 개입 등 각종 억측을 낳게 하고 있다. 지난 3월 평가단 내 노사관리팀에 있던 박모 교수 등 8명은 ‘노사관리팀’을 ‘노사복리후생팀’이라고 팀명을 바꾸려는 정부 방침에 반발해 사퇴했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