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이 떨어지면 수입품 가격이 내려가 소비자가 이득을 본다.’ 경제학원론에 나오는 이 상식이 한국 화장품 시장에서는 통하지 않고 있다. 올 들어 원·달러, 원·유로, 원·엔 등의 환율이 일제히 하향세인 가운데 유명 수입 화장품 브랜드들은 오히려 가격을 줄줄이 올리고 있다.
○수입 화장품의 ‘환율 역주행’
22일 업계에 따르면 프랑스 화장품 브랜드 ‘디올’은 다음달 1일 일부 제품의 백화점 가격을 평균 1.8%, 면세점 가격은 평균 3% 인상한다.
‘프레스티지 화이트 UV 콤팩트’는 12만원에서 12만5000원으로 4.2%, ‘자도르 오드뚜왈렛(50mL)’ 향수는 11만5000원에서 11만6000원으로 0.9% 오른다. ‘어딕트 립스틱’은 3만9000원에서 4만원으로 2.6% 오른다.
고가 프랑스 화장품 ‘시슬리’도 다음달부터 백화점 가격을 평균 3.8% 올린다. 인기 상품인 ‘에뮐씨옹 에꼴로지끄’ 에센스는 22만원에서 23만원으로 4.5% 비싸진다. 역시 프랑스 브랜드인 ‘클라란스’도 다음달 1일 국내 가격을 평균 3~4% 올린다.
휴가철을 앞두고 해외 여행객이 몰리는 면세점에서도 화장품·향수 가격이 잇달아 인상되고 있다. P&G의 일본계 화장품 브랜드 ‘SK-Ⅱ’는 다음달 1일 국내 면세점 가격을 평균 3% 올린다. 간판 제품인 ‘페이셜 트리트먼트 에센스’ 가격은 여성용(250mL)이 163달러에서 171달러로 4.9%, 남성용(215mL)은 148달러에서 155달러로 4.7% 뛴다. 같은 날 ‘랑방’ 향수의 면세점 가격도 평균 7% 인상되며, ‘몽블랑’과 ‘지미추’ 향수는 평균 5% 오른다. ‘불가리’ 역시 향수값을 소폭 인상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환율과 따로 노는 한국 가격표
수입 화장품 업체들은 가격 인상 이유로 ‘본사 방침’을 들고 있다. 올 3월에도 일부 제품 가격을 올렸던 디올 측은 “본사 차원의 가격 조정”이라며 “3월에 가격을 올리지 않은 품목 중 일부를 이번에 인상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값을 올리는 한 향수 브랜드 관계자도 “아시아 면세 시장 전반의 가격 조정에 따른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수입 화장품의 잇단 가격 인상이 국내 매출 부진을 만회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고급 화장품의 핵심 판매처인 백화점에선 지난해 상당수 수입 브랜드의 매출이 전년 대비 뒷걸음질했다.
롯데백화점의 화장품 매출 증감률(전년 대비)은 2011년 11%에서 2012년 3.7%, 지난해 -2.4%까지 꺾였고 올 1~4월에도 0.3%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환율과 연동해 가격을 내린 사례가 없진 않다. ‘랑콤’ ‘에스티로더’ 등이 최근 1~2년 사이 환율 하락을 근거로 일부 화장품 가격을 인하한 적이 있다. 하지만 대다수는 환율 하락이 두드러지기 시작한 지난해 하반기 이후 가격 인상 행진을 이어갔다. 이 때문에 한국 소비자를 일명 ‘호갱’(만만한 고객) 취급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지난 2월 ‘샤넬’이 기초 화장품과 향수 가격을 평균 5%, ‘베네피트’도 평균 7.4% 인상했다. ‘겐조’ ‘지방시’ ‘펜디’ ‘마크제이콥스’ 등 10여개 향수 브랜드도 올초 면세점 가격이 올랐다.
국내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이 정부에서 주도하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이 어렵다고 답한 설문 결과가 19일 나왔다.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해 제조 중소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탄소중립 관련 중소기업 실태조사' 결과를 이날 발표했다. 응답기업의 92.8%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수준에 대해 ‘기한내 달성이 불가능하다’(감축은 가능하나 목표 기한 내 달성은 불가능하다 50.2% + 감축과 달성 시기 모두 불가능한 수준이다 42.6%)라고 응답했다. 특히 온실가스 의무감축 대상기업인데도 ‘기한 내 목표 달성이 불가능하다’고 응답한 기업도 86.0%’(감축은 가능하나 목표 기한 내 달성은 불가능하다 46.5% + 감축과 달성 시기 모두 불가능한 수준이다 39.5%)로 나타났다.탄소중립 대응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이유로는 △탄소중립에 대해 이해하고 검토할 시간적 여유 부족(51.2%), △자금·인력 부족(31.2%), △검증된 기술 또는 설비의 부재(23.2%) 순으로 나타났다. 탄소중립으로 인해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비용의 부담 정도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84.8%가 ‘부담(매우 부담(22.2%)+대체로 부담(62.6%))’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탄소중립 이행에 ‘가장 필요한 지원정책’으로는 △노후시설 교체비용 지원(50.4%), △에너지효율 향상기기 도입지원(26.2%), △중소기업 차등 전기요금제 마련(22.6%) 등을 꼽았다.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은 확대됐으나 이를 이행할 수 있는 재정적 여력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며, “중소기업이 노후화된 시설을 교체하거나 에너지효율을
국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금융 시장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 213% 성장하며 1880조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ESG 금융 성장의 핵심 키워드는 ‘ESG 투자’, ‘공적 금융’, ‘국민연금’으로 분석됐다.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과 민병덕 국회의원실은 국내 금융기관의 ESG 금융 규모를 집계·분석한 2023 한국 ESG 금융백서를 발간하며 이 같은 내용을 19일 발표했다. 백서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국내 금융기관의 ESG 금융 규모는 1882조 8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 610조 원에서 2021년 1000조 원을 돌파하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인 결과다. 전체 금융자산(7129조 5000억 원)과 비교하면 ESG 금융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4분의 1 수준이다.ESG 금융을 유형별(투자·대출·채권 발행·금융상품)로 분석한 결과 ESG 투자와 대출이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ESG 투자 규모는 795조 5000억 원(42.2%), ESG 대출은 761조 8000억 원(40.5%)으로 집계됐다. 이어 ESG 채권 발행 244조 7000억 원(13.0%), ESG 금융상품 80조 7000억 원(4.3%) 순이었다.공적 금융이 시장 성장 주도… 국민연금 비중 확대2023년 ESG 금융 성장의 가장 큰 원동력은 공적 금융이었다. 공적 금융 규모는 1430조 6000억 원으로, 2019년(417조 5000억 원) 대비 242.7% 증가했다. 이는 전체 ESG 금융의 76%를 차지하는 수준이다.특히 국민연금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국민연금의 책임투자 규모는 2023년 말 587조 2000억 원으로 2019년(32조 원) 대비 1735% 급증했다. 이는 2019년 ‘책임투자 활성화 방안’ 의결 이후 ESG 금융을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2022년 발표한 ‘책임투자 자산군 확대 지침’을 통해 해외 직접 투자 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안보 지원을 조건으로 우크라이나의 희토류 지분 50%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희토류에 대한 관심이 다시 뜨거워지고 있다. 최근 논란이 된 희토류 이슈를 세 가지 질문으로 정리했다. 우크라에 정말 희토류가 있을까?과거 대통령 임기 당시 그린란드 매입을 검토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대선에서 승리한 뒤 다시금 미국이 그린란드를 장악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린란드는 세계 8위 규모의 희토류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의 희토류 확보 가능성도 언급했다. 그는 지난 3일 "우크라이나는 훌륭한 희토류를 보유하고 있으며, 나는 이를 확보하고 싶다"고 말했다.그러나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에는 주요 희토류 매장지가 없다. 러시아 당국이 보고된 매장량이 일부 있지만 러시아의 통제 하에 있고, 다른 원자재에 비해서는 매장량도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희토류를 언급했지만, 실제로는 '핵심 광물'을 의미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미국이 전략적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50가지 핵심 광물 목록에는 티타늄, 리튬, 흑연 등이 포함되는데, 우크라이나는 이들 자원의 주요 매장국이다.현재 세계 희토류 생산의 약 70%는 중국이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 매장량의 50%도 중국에 집중돼 있다. 기타 주요 매장국으로는 호주, 브라질, 러시아 등이 있다. 희토류가 얼마나 중요하길래?희토류는 현대 기술을 떠받치는 핵심 원자재로, 화학적 성질이 유사한 17개 금속 원소를 의미한다. 특유의 광학적·자기적·전기적 특성 덕분에 다양한 산